李대통령 “적극적 남북대화로 핵동결→축소→폐기 여건 조성”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8월 21일 07시 51분


코멘트

日 요미우리신문 인터뷰서 밝혀
“美와 긴밀한 공조하에 한반도 비핵화 추진
위안부·징용 합의, 국가간 약속 번복 안돼
다만 국민적 동의 충분히 못받은 것은 한계
‘해원’이란 말처럼 원한 푸는 과정으로 가야”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초대, 주한외교단 만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8.15
이재명 대통령이 북한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적극적인 남북 대화를 통해 핵을 동결, 축소, 폐기까지 갈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21일 공개된 일본 요미우리와 단독 인터뷰에서 “정책적 방향은 한반도의 비핵화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1단계는 핵과 미사일에 대한 동결, 2단계는 축소, 3단계는 비핵화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는 미국과 긴밀한 공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적극적인 남북 대화를 통해 핵을 동결, 축소, 폐기까지 갈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미일 공조와 관련해선 “한일 간에 안보 측면에서도 협력을 심화하고 한미일 공조 또한 지속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3국 국민의 안전과 국익을 지키고,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안정을 위해 중요한 과제”라면서 “중국, 러시아, 북한과의 관계 관리도 중요하다”라고 했다.

대북 관계와 관련해서는 “대북 대결정책보다는 평화적으로 서로 공존하고 서로 인정하고 존중하는 공동 번영의 길을 찾아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리가 한발 앞서서 문을 열고, 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찾아내고, 적대감을 완화해 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위안부 합의와 강제 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선 “국가로서 약속이므로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국가 간 관계에서 신뢰와 정책의 일관성은 매우 중요한 원칙”이라며 “2015년 합의가 양국 정부 간 공식 합의라는 역대 우리 정부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했다.

다만 해당 합의가 국민적 동의를 충분히 받지 못했고, 피해자분들도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 부분은 명확한 한계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피해자의 온전한 명예 회복을 위한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해 나가고자 한다”며 “사과는 상대의 다친 마음이 치유될 때까지 진심으로 하는 게 옳다”고 했다. 이어 “한일 관계는 공통의 문제를 풀어가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해원’이라는 말처럼 원한 같은 것을 푸는 과정으로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한일 관계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관계로 대전환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떤 면에서 협력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라며 경제, 안보, 인적 교류 분야에서 협력 확대를 논의할 뜻을 드러냈다.

이 대통령은 오는 23일부터 이틀간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한다. 한국 대통령이 일본을 찾는 것은 2023년 5월 윤석열 전 대통령이 히로시마를 방문한 이후 약 2년 만이다.

#이재명 대통령#북한#비핵화#남북 대화#핵 폐기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