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 전 핵탄두 장착용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 연구소를 방문해 처음으로 신형 ICBM 개발을 공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1일 미사일 총국 산하 화학재료종합연구소을 방문해 탄소섬유 복합재료 생산 공정과 대출력 미사일 엔진 생산 실태를 파악했다고 2일 보도했다.
북한매체는 “신형 고체발동기 최대 추진력은 1960kN(킬로뉴턴)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포-19형 계열들과 다음 세대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포-20형에 활용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이는 우리 전략 미사일 무력 강화와 능력 확대에서 커다란 변혁을 예고하는 의미 있는 성과”라며 “전략 무력 강화의 지름길을 열어 놓은 해당 연구소의 과학자들에게 높은 급의 국가표창을 수여”하라고 지시했다.
북한의 ICBM 시험발사는 지난해 10월 31일 화성-19형이 마지막이다. 화성-19형은 북한이 보유한 ICBM 중 가장 큰 기종인데, 이를 뛰어넘는 성능의 화성-20형을 개발하고 있음을 공개한 것이다. 화성-19형 공개 당시 북한은 ‘최종 완결판’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바 있다.
북한이 보유한 미국 본토 타격이 가능한 ICBM은 화성-18형부터다. 이 마사일의 사정 거리는 1만5000㎞ 이상이다. 화성-20형은 사거리를 확장하거나 탄두 중량을 늘려 파괴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다.
김 위원장은 이번 미사일 연구소 방문 외에 지난달 31일 새로 조업한 중요 군수기업소를 방문해 미사일 자동화 생산공정을 점검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참가를 계기로 다자외교 무대에 처음 오르게 되는데, 이 같은 군수 시설 방문은 핵보유국 지위 인정을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통일부 관계자는 “방중 앞두고 김정은 위원장의 큰 외교무대 앞두고 국방력 발전 5개년 계획 성과 있었다는 점을 대외 과시해야 필요가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고 했다.
정부는 김 위원장의 다자외교 무대 데뷔에 대해 “평가 자체가 이른 것 같다”면서도 “김 위원장이 다자외교 무대에 첫 번째 가는 것인데, 나름대로 북한 당국 입장에서 여러 가지를 고려해서 국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 여러 시점과 장소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선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북한 당국의 김 위원장 해외 순방을 당일 보도하는 것도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과거 사례를 보면 2019년 4월 러시아를 방문할 당시가 유일한 ‘당일 발표’로 파악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러시아를 방문할 때 방문 여부조차 알려지지 않은 사례 꽤 있다. 이번 행사 참석을 양측이 공개적으로 밝힌 상황이라 굳이 시간 두고 사후 공개할 사안은 아니었다고 보고 있다”고 했다.
한편, 김 위원장 동정이 중앙조선통신에만 공개되고 노동신문에는 보도되지 않는 이례적인 상황이 나오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노동신문에 보도되지 않고 중앙통신에만 보도되는 사례는 이번을 포함해 총 6차례”라며 “특이한 사례가 빈번하게 벌어지고 있는데, 상황을 종합적으로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