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의전 ‘푸틴 바로 다음’…끝에서 두 번째 입장, 시진핑 왼쪽 자리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3일 11시 38분


코멘트
시진핑(오른쪽부터)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일(현지 시간) 중국 베이징의 톈안먼 광장에서 열리는 ‘중국 인민 항일 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을 앞두고 원로들과 인사를 나누는 모습이 대형 모니터에 비치고 있다. 2025.09.03. [베이징=AP/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일 중국 전승절 80주년 행사에 나란히 참석하며 북-중-러 3국 밀착을 과시했다. 3국 정상은 전승절을 맞아 열린 대규모 열병식을 베이징 톈안먼(天安門) 망루 위에서 함께 지켜봤다. 시 주석을 중심으로 김 위원장이 왼편, 푸틴 대통령이 오른편에 위치했다. 북-중-러 정상이 한 자리에 모인 것은 탈냉전 이후 처음이다.

시진핑(가운데) 중국 국가주석이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3일(현지 시간) 베이징 톈안먼광장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 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석하고 있다. 2025.09.03. [베이징=AP/뉴시스]

AP/뉴시스
중국 측은 행사 시작부터 사실상 푸틴 대통령에 준하는 ‘파격 대우’를 제공했다. 김 위원장은 마지막에서 두 번째로 행사장에 입장해 시 주석 내외와 인사를 나눴다. 검정색 정장 차림의 김 위원장은 동행자 없이 혼자 입장했다.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뒤를 이었다. 외빈 영접 이후 이어진 기념촬영에서 세 정상은 첫 번째 줄 정중앙에 위치했다. 시 주석과 부인 펑리위안 여사 양 옆에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자리했다.

기념 촬영 이후 김 위원장이 시 주석의 왼쪽에, 푸틴 대통령이 오른쪽에 선 채 귀빈석이 위치한 텐안먼 망루로 이동했다. 김 위원장은 이동 중에도 지속적으로 시 주석과 대화를 나누며 화기애애한 모습을 연출했다.

망루에서도 시 주석의 뒤를 이어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함께 입장하며 중국 항전노병들과 악수를 나눴고 망루 한가운데에 함께 섰다. 시 주석의 왼쪽에는 김 위원장, 오른쪽에는 푸틴 대통령이 나란히 선 모습은 중국중앙(CC)TV 등을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시 주석은 이날 열병식 기념사에서 “역사는 인류의 운명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음을 경고한다”며 “인류는 다시 평화와 전쟁, 대화와 대결, 윈-윈 협력과 제로섬 게임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모든 국가와 민족이 서로를 평등하게 대하고 화합하며 서로 도울 때만 공동의 안보를 유지하고, 전쟁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며, 역사적 비극의 반복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3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리는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행사장에 참석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악수하고 있다. (출처=중국 CGTN) 2025.9.3. 뉴스1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3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리는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행사장에 참석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악수하고 있다. (출처=중국 CGTN) 2025.9.3. 뉴스1
이번 전승절 행사 참여로 첫 다자외교 무대에 데뷔한 김 위원장은 이날 북중, 북러 정상회담 등 외교 행보에 나설 전망이다. 다른 국가 지도자들과의 회동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날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날 열병식 행사장에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에게 방북을 요청했다. 로이터통신은 루카셴코 대통령의 활동을 전하는 텔레그램 계정을 인용해 김 위원장과 루카셴코 대통령이 열병식 전 짧게 대화를 나눴다고 전했다.

#김정은#시진핑#푸틴#북중러#전승절#열병식#다자외교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