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李대통령 앞 즉답 어려워”…지자체장 위한 해명

  • 뉴시스(신문)

코멘트
27일 오전 전남 나주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추진 선포식에서 강기정 광주시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08.27. [나주=뉴시스]
27일 오전 전남 나주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추진 선포식에서 강기정 광주시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08.27. [나주=뉴시스]
강기정 광주시장이 최근 대통령 주재 회의서 강릉시장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질문에 제대로 답변하지 못한다는 지적과 관련해 “대통령 앞에서는 즉답하기가 쉽지 않다”는 취지로 해명에 나섰다.

1일 MBC 라디오 ‘권순표의 뉴스하이킥’에 출연한 강 시장은 “대통령이라는 자리는 어마어마한 절대 권력이다. 그 앞에서 지자체장이 섣불리 발언했다가 자칫 잘못 전해지면 지역에 피해가 돌아올 수 있다는 부담이 크다”며 “알고 있는 사안이라도 순간적으로 답을 내놓기 어려운 이유가 거기에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역 현안은 사전에 준비된 답변을 하지 않으면 갑론을박이 돼 버린다. 갑자기 던져진 질문에는 답하기 참 곤란하다”며 “‘어떤 이야기를 해야지 대통령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 이런 고민을 하다 보니까 섣불리 대화를 못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시장은 지난 6월 광주 타운홀 미팅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상황을 설명하기도 했다.

그는 광주의 주요 현안으로 ▲AI 데이터센터 유치 ▲6000억 원 규모 예비타당성(예타) 조사 면제 사업 ▲AI 모빌리티 신도시 조성 등을 꼽으며 “이 같은 사안들은 이미 지난 5월 대통령 공약에 다 포함돼 있다. 그러니 나도 마찬가지로 질문의 의도가 어떤 건지를 파악하는 시간이 필요했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재명 대통령의 타운홀 미팅 방식에 대해서도 견해를 밝혔다.

강 시장은 “직접 민주주의를 가미한다는 점에서 시민들하고 직접 대화하고 이런 점은 참 좋다”면서도 “그러나 깊게 토론하기에는 타운홀 미팅은 효용성이 덜한 한계가 있다. 500명 이상이 참석하기보다는 100명 내외로 압축해 각계 대표들이 토론하는 방식이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안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