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 불에 뛰어들기보다 첨단 기술 활용되도록 할 것”
근력강화 슈트, 고중량 드론…첨단 국방기술 소방에 적용
노후주택 화재 방지 대책도…취약 150만 세대에 감지기 보급
김민석 국무총리가 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9.03.[세종=뉴시스]
정부가 내년도 소방기술 연구에 총 503억원을 투입한다. 국방기술을 소방에 적용한 K-소방산업을 육성해 해외에 수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3일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소방 연구·개발(R&D)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내년도 소방 R&D 예산을 올해(305억원)보다 65% 늘린 503억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정부는 “국토 전역에 증가하는 재난 위험과 소방수요에 비해 투자규모가 낮아 현장 대응력 강화와 첨단기술 도입의 시급성이 제기돼왔다”며 배경을 설명했다.
소방 역량을 혁신하기 위해 국방 기술을 소방에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기술력을 높여 소방관이 불에 직접 뛰어들지 않게 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지난달 28일 소방청, 국방부, 방위사업청 등으로 구성된 국방-소방 기술협의체에서는 소방 현장에 효과적인 국방 기술 10종에 관한 현장실사를 진행했다. 근력강화 슈트, 고중량 드론, 수중탐색 플랫폼, 플라즈마 살균 등으로 이 가운데 현장 적용성이 높은 기술은 2027년부터 본격 과제수행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렇게 개발된 기술은 해외로 수출한다. 정부는 민관이 참여하는 소방산업 수출협의회를 지난달 28일 구성했으며, 우수 연구성과물은 혁신제품으로 지정해 판로 확보를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노후 주택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도 이날 발표됐다. 아파트 화재로 아동이 사망하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자 정부가 재발방지 종합대책을 마련한 것이다.
행안부와 소방청은 이달 안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전국 2만5212개 아파트 단지에 대한 점검을 마치고, 화재에 취약한 150만여 세대에는 감지와 경보 기능이 결합된 감지기를 보급할 예정이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생길 수 있는 야간 아동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지부는 방과후 마을돌봄시설 350개소를 연장 운영한다. 300개소는 오후 10시까지, 50개소는 자정까지 운영시간을 연장할 계획이다. 오후 10시 이후 긴급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저소득(중위소득 75% 이하) 가구에 대해서는 이용자 본인부담금 중 야간 할증(50%)에 해당하는 비용을 지원한다.
김 총리는 “정부는 부산 아파트 화재와 같은 사고가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소방시설 보강 이외에도 안전교육 강화와 돌봄 체계 개선까지 ‘국민 생활 속 안전망’을 전면 재정비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주권 정부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은 그 어떤 정책보다 우선되는 과제로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국민 일상 속 안전 위험요소를 제거해 나가는 데 더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는 드론, 로봇, 센서 등 이미 검증된 첨단 국방기술을 소방 현장에 적극 이전 및 활용하고, 소방 연구성과가 산업 수출로 이어져 국가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