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취임 100일 회견]
신규 원전에 “실현 가능성 없어
1, 2년 걸리는 풍력-태양광 집중”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신규 원자력발전소 건설에 대해 “지금 당장 시작해도 10년이나 돼야 지을까 말까 한데 그게 (에너지) 대책이냐”며 “(건설) 가능한 부지가 있고 안전성이 확보되면 하겠지만 거의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실행 가능한 것은 풍력, 태양광 같은 재생에너지”라며 “거기에 집중할 것이고 재생에너지 산업을 대대적으로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된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환경부가 에너지 정책을 넘겨받으면서 신규 원전 건설이 축소되고 수출 경쟁력도 약화되는 등 탈원전 회귀가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대통령은 “인공지능(AI)을 위한 데이터센터를 설치하는 데 엄청난 전력이 필요하다. 그러니까 원전이 필요하다는데 (여기에는) 기본적인 맹점이 있다”며 “원전을 짓는 데 최소 15년이 걸린다. 원전 지을 데가 없다”고 했다.
이어 “지금 당장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데 가장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은 태양광,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라며 “풍력발전, 태양광은 1, 2년이면 된다. 그걸 대대적으로 건설해서 그 방향으로 가야지 무슨 원전을 짓나, 그 이야기를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올 2월 확정돼 11차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된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 신규 건설에 대해 “국민들의 공론을 듣고 판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며 재검토를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원자력과 재생에너지를 합리적으로 섞어서 쓴다는 에너지믹스 정책은 변한 게 없다”며 “에너지 믹스는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원전도 있는 것 써야 한다. 가동 기한이 지나도 안전성이 담보되고 확인되면 연장해서 쓰고, 짓던 것 잘 지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음 달 출범할 기후환경에너지부를 두고 규제 부처인 환경부가 산업 진흥 역할을 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에는 “에너지 분야는 (부처) 내부 토론으로 정해지는 게 낫다.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한 부처 안에서 갑론을박해서 (정책) 결정하는 것과 서로 독립 부서가 되어서 서로 말도 안 하는 것은 어떤 게 나은가”라고 되물었다. 그러면서 “환경부와 기후에너지부도 비슷하다”며 “좋은 쪽으로 이해해주시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최혜령 기자 herstory@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