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기술로 보건 시스템 효율화·고령화 대응 해법 모색”
디지털헬스·건강한 노화·청년 정신건강 3대 의제 논의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HLMHE 의장)이 16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5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보건과경제 고위급회의에서 21개 APEC 회원경제 장관,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사무처(WHO WPRO) 등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9.15. 뉴스1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한국이 의장국으로 주재한 ‘제15차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보건과경제고위급회의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직면한 보건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과 혁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 장관은 16일 오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이번 회의에서 “이날 논의한 성과는 다음 달 열릴 APEC 정상회의로 이어져 아시아태평양 역내 회원경제들이 함께 만들어갈 미래 비전으로 반영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아시아·태평양 국가는 인구 구조 변화와 만성질환 증가, 팬데믹 이후 가속화된 사회·경제적 불안정 속에서 새로운 보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며 “보건의료 수요와 서비스 기대는 커지는 한편, 의료 인력과 자원의 격차는 여전히 존재한다”고 했다. 또 “동시에 디지털 전환과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보건의료 수요와 서비스 기대는 커지는 한편 의료 인력과 자원의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며 디지털 전환과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며 “복합적인 변화는 혁신적 기술을 활용해 보건 시스템의 효과성을 높이고 고령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미래 세대가 직면한 정신적 어려움에도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번 회의 주제인 ‘연결·혁신·번영’을 언급하며 “회원경제의 주권과 제도를 존중하면서도 정책과 시스템의 연결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혁신을 통해 인구 구조 변화와 정신건강 도전을 감당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을 찾고, 건강한 사회가 곧 경제적 번영의 기초가 된다는 인식 아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오늘 논의할 세 가지 의제인 디지털헬스, 건강한 노화, 청년 정신건강에 대한 회원경제의 경험과 통찰을 공유하는 것은 문제 해결을 구체적 실천으로 이어가기 위함”이라며 “앞으로도 대한민국은 APEC 의장국으로서 이번 논의가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15~16일 진행되며 21개 회원경제 장·차관을 비롯해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사무처(WHO WPR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국제기구 관계자와 기업인 등 480여 명이 참석했다. 한국은 지난 2005년 이후 20년 만에 의장국으로서 회의를 주재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