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자폭형 무인기(점선 안)가 18일 표적을 타격하며 폭발하는 모습을 북한 노동신문이 19일 보도했다. 북한은 과거 무인기를 보도할 때 모자이크로 처리했지만, 이번엔 모자이크 없이 공개했다. 노동신문 뉴스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인공지능(AI)이 적용된 자폭형 드론의 성능 시험을 참관하고 전력 현대화에서 무인기 분야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고고도 무인정찰기 글로벌호크를 빼닮은 북한의 무인정찰기도 공개됐다.
조선중앙통신은 19일 김 위원장이 전날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에서 개발·생산하고 있는 무인무장장비(무인기) 성능시험을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이날 진행된 시험에서 “무인 전략 정찰기의 군사 전략적 가치와 혁신적인 성능, 그리고 ‘금성’ 계열 전술 무인 공격기들의 우수한 전투적 효과성이 뚜렷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현대전에서 무인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면서 “이 분야의 핵심 기술 고도화와 무인무장장비 체계의 인공지능 및 작전능력 고도화는 우리 무력 현대화 건설에서의 최우선적인 중요 과제”라고 했다. 이어 “새로 도입 중인 인공지능 기술을 급속히 발전시키는 데 선차적인 힘을 쏟으라”고 밝혔다.
김정은, 美 글로벌호크 빼닮은 무인정찰기 참관 북한 노동신문은 1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날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를 방문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미국의 고고도 무인정찰기인 ‘글로벌호크’(작은 사진)와 겉모습이 유사한 무인정찰기 ‘샛별-4형’ 앞에 서 있는 모습. 노동신문 뉴스1·동아일보DB북한은 과거 무인기를 보도할 때 모자이크 처리를 했지만, 이번엔 모자이크 없이 두 종류의 자폭형 무인기가 미군 장비를 모의한 표적을 공격하는 모습을 공개했다. 무인기 개발 기술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미군 장비의 외형을 인식해 공격하는 AI 기술이 적용됐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날 북한은 ‘금성’이라는 무인기 계열명도 처음 공개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