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급 개인정보보호위원장에 송경희 성균관대 교수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10월 2일 17시 02분


코멘트
송경희 개인정보보호위원장(왼쪽), 김현권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위원회 위원장
송경희 개인정보보호위원장(왼쪽), 김현권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위원회 위원장
이재명 대통령이 2일 장관급인 개인정보보호위회 위원장에 송경희 현 성균관대 교수를 임명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장관급 1명, 차관급 1명의 인사를 단행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송 교수(59)는 현 성균관대 인공지능융합원 인공지능신뢰성센터장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식재산전략기획단장, 소프트웨어정책관을 역임한 관료출신이다.

강 대변인은 송 교수에 대해 “인공지능 정책 및 이용자 보호에 정통한 전문가”라며 “기술발달과 함께 개인정보 위협이 커지는 시점에서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체계 확립과 AI육성을 조화롭게 이끌어 갈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차관급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위원회 위원장에는 김현권 전 의원(61)이 발탁됐다.

20대 국회의원 출신인 김 전 의원은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했으며 경북대학교 행정학 석사를 받았다. 대통령 직속인 탄소중립위원회 위원,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탄소중립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강 대변인은 김 전 의원에 대해 “환경 에너지 분야 기관 및 위원회에서 다년간 활동하며 전문성과 경험을 두루 갖췄고, 소통 갈등관리 능력을 입증한 점이 높게 평가됐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적 갈등이 생길 수 있는 국가적 과제를 충분한 소통을 통해 이끌어야 하는 만큼 초대위원장으로서 사회적 대화와 공감대 형성을 성공적으로 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진행된 대통령 주재 제12차 수석보좌관 회의 결과에 대해서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 공직기강 전반을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총알 3만여 발이 불법 유통된 보도를 언급하며 대한민국 기본시스템 많이 무너져 있는 방증이라고 지적했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국가정보 화재로 소실된 인사혁신처 정보가 백업되지 않았던 점을 지적했다”며 “이 대통령은 사고 날 가능성에 무감각한 것이 큰 문제이고 적폐라고 말했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금산분리 예외 조항에 대해 “독점 폐해 없는 매우 특수한 영역에 한정해 우리 사회 논의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제안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고정된 도그마에서 벗어나 사회적 논의 필요성을 제안한 만큼 충분한 논의가 뒤따르길 바란다”고 했다.

#장관급#개인정보보호위원장#송경희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