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민영 순직해병 특검보가 2일 오전 서울 서초구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07.02 뉴시스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의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채 상병 특별검사팀이 이른바 ‘VIP 격노설’에 대한 진위 파악에 나섰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에 관한 의혹을 수사하는 김건희 특검팀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압수수색에 이어 관계자 조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채 상병 특검팀의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4일 브리핑에서 “다음 주부터 VIP 격노설과 관련된 조사를 본격화할 예정”이라며 “이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이 촉발된 계기가 2023년 대통령실에서 열린 회의였다. 이 회의의 정황을 알고 있을 것으로 보이는 관계자들을 다음 주부터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VIP 격노설은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열린 국가안보실 회의에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포함한 간부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한다는 보고를 받고 “이런 일로 사단장까지 처벌하면 누가 대한민국에서 사단장을 하겠느냐”며 격노했고, 이후 사건의 경찰 이첩 중단과 사건 회수가 이뤄졌다는 의혹이다. 특검은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등 회의에 직접 참석한 관계자들을 조사해 윤 전 대통령의 격노가 실제 있었는지 확인할 방침이다.
또한 특검은 7일 오전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을 특검 사무실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정 특검보는 “(김 전 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이나 이 전 장관에게 받은 지시가 무엇인지가 주요 조사 내용이 될 것”이라며 “(채 상병 순직) 사고 직후 임 전 사단장의 허위보고 내용에 대해서도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 박경훈 전 국방부 조사본부장 등 사건 핵심 관계자들에 대해서도 출국금지 조치가 이뤄졌다.
김건희 특검팀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을 벌인 지 하루 만인 4일 이응근 전 삼부토건 대표를 불러 조사했다. 이 전 대표는 2023년 삼부토건이 우크라이나 재건사업과 관련한 업무협약(MOU)을 반복 체결할 당시 회사 대표로서 사업을 총괄한 인물이다. 삼부토건은 실제 사업 추진 능력이 없음에도 MOU 체결 사실을 대외적으로 홍보해 주가를 끌어올리고 부당이득을 챙긴 의혹을 받고 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주범인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가 ‘멋쟁해병’ 카카오톡 방에서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남긴 사실이 알려지며, 삼부가 삼부토건을 지칭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4월 이 전 대표를 포함한 전·현직 경영진 5명을 검찰에 고발했고, 특검은 금감원으로부터 사건 자료를 넘겨받아 수사를 진행 중이다.
전날 압수수색 대상에는 삼부토건, 디와이디(DYD) 외에 삼부토건 주식을 디와이디에 매각한 이석산업개발도 포함됐다. 지분 거래가 이후 주가 흐름에 영향을 줬는지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삼부토건이 압수수색 사흘 전 본사를 서울 중구에서 종로구로 옮긴 것에 대해 증거인멸 의도가 있었는지도 살펴보고 있다.
특검팀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외 다른 사건들도 관련자 조사와 증거 수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사를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정식 특별검사보는 김 여사 조사 시점과 관련해 “(김 여사 측과) 협의된 건 없다. 어떤 연락도 받은 바 없고, (특검이) 연락한 사실도 없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