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권성동 의원 등에게 금품을 전달하고 이권을 청탁한 혐의를 받는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2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박형기 기자 onehsot@donga.com
통일교 한학자 총재가 정치자금법 위반 등의 혐의로 23일 구속되자 일본 언론들도 이를 주요 기사로 전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2022년 7월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 피격 사망 사건의 배경으로 통일교가 지목됐고, 집권 자민당과의 ‘정교 유착’ 의혹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이날 아사히신문은 한 총재의 구속 사실을 전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과 측근에 대한 부정한 금품 제공에 관여한 혐의가 있다”며 “(문선명 창시자 때부터) 교단이 정치권과 유대를 가지려는 움직임을 보였다”고 했다. 아사히는 탁지일 부산장신대 교수를 인용해 “(통일교는) 교단 의사대로 국가가 운영돼야 한다는 ‘정교일치’ 이념을 강조했다”며 “한 총재 등은 기대감을 갖고 윤석열 정권에 다가섰지만 뜻하지 않은 비상계엄으로 인해 자신들의 정치적 움직임이 노출됐다”고 전했다.
마이니치신문은 “통일교는 일본, 미국, 한국을 중심으로 많은 나라의 전현직 정상들과 관계를 쌓으면서 세력을 확대해온 역사가 있다”며 “한 총재가 구속된 사건에서도 윤 전 대통령의 아내나 측근에게 금품을 주고 그 보답으로 교단 사업에 대한 편의를 도모한 혐의가 있다”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은 한 총재의 구속으로 “통일교와 윤 정권의 유착 수사가 큰 전기를 맞았다”고 평가했다. NHK도 “한 총재의 구속이 통일교 교단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앞서 아베 전 총리 살해범은 “어머니가 통일교에 거액을 기부해 가정이 엉망이 됐다”고 범행 동기를 밝혀 일본에서 논란이 됐다. 이에 일본 정부는 고액 헌금 등을 문제 삼아 통일교를 상대로 해산 명령을 청구했고, 법원은 올 3월 이를 받아들였다. 이 과정에서 자민당 일부 정치인과 통일교의 유착 의혹이 불거지기도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