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12만6000명 출생, 7.4%↑…6월 1.9만명↑, 12개월 연속 증가
전문가들 “올해 0.8명 넘을 듯…지속 증가 위해선 정책 뒷받침해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차병원 신생아실의 모습. 2025.8.27/뉴스1
올해 상반기 출생아가 역대 최고 수준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합계출산율 0.8명대 진입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출산 주력층인 30대 초반 여성 인구가 증가한데다, 올해 분만 예정자가 30만 명을 넘어서면서 출산율은 완만한 상승곡선을 그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출생아 증가가 30대 초반 여성 인구 증가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출산율 상승을 위해서는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3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출생아는 12만 6001명으로 전년(11만 7280명)보다 7.4%(8722명) 증가했다. 상반기 기준 역대 최고 증가율이다. 지역별로는 서울(9.2%), 인천(12.1%), 충북(11.6%), 대구(10.9%) 등 강원·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출생아가 증가했다.
출생아는 올해 들어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6월 출생아 수는 1만 9953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09명(9.4%) 늘었다. 2024년 7월부터 12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증가율은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이에 2분기 합계출산율은 0.76명으로 전년보다 0.05명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합계출산율 0.8명 달성이 가능하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출산 핵심 인구인 30대 초반 여성 인구가 늘고 있고, 코로나19로 인해 미뤄졌던 혼인·출산이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영수 한양대 국제대학원 지속가능경제학과 교수는 “올해 0.8명 달성은 어렵지 않아 보인다”며 “코로나19로 중단됐던 혼인과 출산이 집중되고 있는 것도 출산율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상림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도 “올해는 반등하는 추세로 합계출산율이 0.8명 수준을 넘을 것 같다”며 “혼인 건수 증가세에 비해 출생아 증가는 더딘 편이지만 당분간 상승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분만 예정자가 30만 명을 넘는 점도 출산율 상승 전망을 뒷받침한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국민건강보험의 임신·진료비 지원 사업(임신바우처) 신청자를 토대로 올해 분만 예정자를 30만 4000명으로 추산했다. 이는 전년보다 2만 1000명 늘어난 수치다. 연령대별로는 30~34세가 14만 3072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35~39세(8만 2493명), 25~29세(4만 8081명) 등 순이었다.
대구 수성구 파티마여성병원에서 출산이 임박한 임산부가 진료를 기다리고 있다. 뉴스1.
다만 전문가들은 출산율 증가를 중장기적 흐름으로 이어가기 위해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출산율 상승이 단순히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현상이라면, 부동산 가격 안정, 출산 지원 확대 등 정책이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일시적 반등에 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전 교수는 “출산율은 증가했지만 주거·고용 등 청년층 환경은 뚜렷하게 개선되지 않았다”며 “환경 개선이 이뤄지지 않으면 30대 초반 인구의 출산이 끝나는 시점에 출산율이 급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원은 “지금은 인구 내부 요인으로 잠깐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청년들에게 얼마나 공정한 기회를 제공할지가 중요하다. 새 정부가 정책 기조를 확실히 잡아야 한다. 정부 내 인구 정책 파트의 공백이 길어지고 있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승윤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출산율 증가는 긍정적인 신호지만 낙관하기는 이르다”며 “최소 5년간은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 출산율 제고를 위해 노동시간 단축, 육아휴직 사용 확대 등이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