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초중고생 비율이 2013년 관련 조사 시작 이후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교육부는 올해 4~5월 전국 초4~고3 재학생 397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학교 폭력을 경험했다고 답한 학생은 전체의 2.5%였다. 이는 전년보다 0.4%포인트 증가한 수준이다. 초등학생이 5.0%로 가장 높았고 중학생 2.1%, 고등학생 0.7% 순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한 2020년 0.9%까지 떨어졌던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이후 매년 상승하다 지난해 2013년 이후 최고인 2.1%로 2%를 넘어섰으며 올해는 2.5%로 더 높아졌다. 특히 학교폭력을 당했다고 응답한 초등학생 비율이 5.0%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 폭력 유형은 언어폭력이 39%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집단 따돌림(16.4%) △신체폭력(14.6%) △사이버폭력(7.8%) 순이었다. 피해 장소는 교실 안(28.9%)과 복도나 계단(16.6%) 등 학교 안에서 이뤄졌다는 답변이 많았다. 쉬는 시간(30.1%)이나 점심 시간(20.9%) 등 교사의 눈을 피할 수 있는 시간대에 발생했다.
올해부터 학교 폭력 가해 이력이 대학입시에 반영돼 학교 현장에서 학교폭력에 대한 민감도가 올라간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학교폭력 예방 교육, 미디어 등 영향으로 학생들이 학교 폭력을 민감하게 여겨 응답률이 올라갔다는 의견도 있다. 학교폭력 예방 활동을 하는 비영리공익법인(NGO) 푸른나무재단 김미정 상담본부장은 “가해자가 확실한 경우도 학부모들이 자녀의 진로에 문제가 생길까 법률 상담을 받고 피해자를 맞신고해 피해자가 다수가 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