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불황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20대 시내버스 운전기사가 자신의 소득을 밝힌 콘텐츠가 최근 재조명 받고 있다.
최근 각종 온라인커뮤니티에는 지난해 9월 유튜브 ‘탐구생활 – 돈이 되는 삶의 이야기’ 채널에 올라온 28세 시내버스 운전기사 서기원 씨의 사연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영상에서 서 씨는 새벽 3시 반에 기상해 출근 준비를 했다. 그는 버스 운전기사라는 직업을 택하게 된 이유에 대해 “딱히 하고 싶은 게 없이 알바만 했는데 아버지가 여러 방면으로 알아보시고 권하셨다”고 설명했다.
버스 기사 자격 조건에 대해서는 “대형면허와 버스운전종사자 자격증이 필요하다. 그리고 화성에서 버스 운전 교육을 받아야 하는데 만약 화물차 경력이 1년 이상이면 안 받아도 된다”며 “요즘은 워낙에 버스 기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보니 화성을 다녀오면 바로 일을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 씨는 “운전 난폭하게 하고 성격 나쁘고 정말 할 거 없는 사람들이 버스 운전한다는 건 다 옛날 말이더라. 지금은 성격 좋은 기사님들도 많고 월급도 많이 준다”면서 “일하는 강도에 비해서 월급이 좀 많다. 시내버스에서 경력을 쌓다 보면 공항버스라든가 좀 더 좋은 회사로 이직할 수 있는 기회도 생긴다”고 했다.
단점으로는 “일찍 일어나야 하다 보니 졸음운전에 대한 위험성이 높고 승객과 부딪힐 때 정신적으로 흔들리는 상황이 많이 있다는 것과 화장실을 자유롭게 이용하지 못하는 점, 그리고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르는 사고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꼽았다.
개인이 운영하는 회사에서 1년 정도 경력을 쌓고 준공영제 회사에 취직했다는 그는 “세후 기준 보통 처음 시작하면 270만~275만 원 받는다. 6개월 차가 되면 300만~310만 원 정도 받는다. 2년이 딱 넘어가면 400은 무조건 받는다. 추석이나 설날같이 명절 때 일을 하면 특별 수당이 붙어서 430만~450만 원 찍는다. 2년 넘어가면 오르긴 오르는데 한 5~6만 원밖에 차이 안 난다”고 버스 운전기사 소득을 밝혔다.
끝으로 서 씨는 “저는 버스 기사를 하면서 단 한 번도 이 선택을 후회한 적은 없다”며 “제 인생의 등대인 아버지가 이끌어주셨고 또 매 순간순간 자부심을 느낀다. 이 큰 차를 제가 핸들을 잡고 변속하고 액셀을 잡으면서 인천 시민의 발이 돼준다는 자부심으로 일을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