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이상 중장년 서울시민 10명 중 7명은 현재 65세인 노인 연령 기준 상향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숙자 서울특별시의회 운영위원장(국민의힘·서초2)은 지난 ’24년 12월 3일부터 12월 6일까지 50세 이상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노인연령 기준 개선 및 노후복지 서비스 시민 인식’ 여론조사 결과를 17일 공개했다.
조사 결과 노인 연령 상향에 대해선 74%가 찬성, 24%가 반대라고 답했다. 특히 노인 연령 상향으로 복지서비스 수혜 가능 연령이 상향된다고 고지한 후에도 상향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70%였다.
노인 연령의 적정 기준에 대해서는, ‘70세 이상’이 59%로, 그 이유로는 ‘실제 신체능력, 건강 측면에서 상향이 타당하다고 생각해서’ 57%, 미래세대의 부담 감소를 위해서 34%, 향후 정년이 연장될 것으로 기대돼서 9% 순이었다.
사진=이숙자 의원 제공
다만, 65세를 앞둔 연령층(60~64세)에서는 노인 연령 기준 상향에 대한 찬성 비율이 58%로 다른 연령대가 모두 70% 이상의 찬성 응답을 한 것과 차이가 발생했다.
노인 복지 정책 중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할 서비스 분야로는 ‘간병 지원’(24%), ‘일자리’, ‘공공의료지원’(각21%)이 높게 나타났다.
이숙자 위원장은 “노인 연령 상향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간병 지원, 노인 일자리 지원, 공공의료지원 등 실제 수요 중심의,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노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 차원에서 관련 정책과 사업을 더욱 면밀히 검토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서울시민 만 50세 이상 남녀 600명 대상 웹조사로 진행했으며 서울 5개 권역별로 진행됐다.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4.0%p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