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여객기 참사로 경제 한파
일반음식점 20% 잠재적 휴·폐업… 무안공항발 여행 상품 취소 잇따라
23일 경제위기 극복 결의대회 개최
소비촉진 캠페인 열고 선결제 동참… 경제 회복 5대 활력 프로젝트 추진
강기정 광주시장이 지난해 12월 24일 광산구 송정역에서 열린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소비촉진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홍보물을 나눠주고 있다. 광주시 제공
광주시는 경기침체와 비상계엄 등 정국 불안 속에 무안 제주항공 참사까지 겹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지역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23일 민생경제 살리기 결의대회를 연다.
19일 광주소상공인연합회 등에 따르면 광주지역 소상공인은 18만2000명 정도다. 광주지역 소상공인 연간 1만 명 정도가 휴·폐업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기성 광주소상공인연합회장은 “광주 소상공인 휴·폐업률은 전국에서 높은 편이다. 모든 공공기관이 일주일 한 번 정도는 구내식당 대신 인근 음식점에서 식사를 하는 등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안을 마련해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광주 관광업계는 참사 이후 무안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해외여행 상품 취소가 2만 명에 달한다며 지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선석현 광주관광협회장은 “광주에 여행사 550여 개가 있는데 올 3월까지 무안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해외여행 환불은 2만 명으로 환불 금액은 300억 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또 “무안국제공항 이용자 60% 이상은 광주 사람들이었다. 이 때문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도 지역민이 가장 많은 만큼 광주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음식점들도 경기 침체에 식료품 가격 상승 등으로 팔아도 남는 것이 없다고 호소했다. 윤상현 외식업중앙회 광주시지회 총무부장은 “광주지역 일반음식점이 1만8000곳인데 20%가량이 잠재적 휴·폐업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며 “소비 진작을 위해 민생지원금 지급 등 실질적 지원책이 마련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광주시와 5개 자치구, 경제계는 23일 오전 10시 반 광주상공회의소에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범기관 결의대회를 개최한다. 이들은 △일자리 창출 △투자 활성화 △소비 촉진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등을 실천하기로 다짐한다. 기업들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채용 확대를, 경영자총협회는 중장년 일자리 사업 추진을, 노동청과 고용센터는 구인·구직 지원에 동참할 계획이다. 기관 간 투자 전략과 목표를 공유하고 효율적 자원 배분을 통해 투자 활성화 방안도 마련한다.
또 소비 촉진을 위해서는 선결제, 소비 촉진 캠페인 등 다양한 소비 촉진 정책을 추진한다. 모든 기관이 선결제에 동참하고 중소기업청과 소상공인진흥공단은 온누리상품권 발행을, 자치구와 공공기관 등은 소비 촉진 캠페인 등을 실시할 방침이다.
광주시는 지역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민생경제 회복 5대 활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공공배달앱 연말 특별할인 이벤트를 실시한 데 이어 광주시청 전 직원이 인근 식당 이용의 날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이달 한 달 동안 광주상생카드 10% 특별할인과 25개 기관 소비 촉진 릴레이 캠페인 등을 진행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현재 경제위기는 고용, 소득, 소비, 지역경제 등 다양한 요소가 얽혀 있어 각계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모든 기관이 참여한 민생경제 살리기 결의대회를 통해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과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