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얼마나 심하면…태양 흑점까지 보여 “상상도 못했다”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1월 22일 12시 59분


코멘트
네이버 블로그 노란망고(올어바웃 코스트코) 제공.
네이버 블로그 노란망고(올어바웃 코스트코) 제공.
강한 미세먼지로 인해 하늘이 흐려지면서 태양의 흑점까지 휴대전화 카메라에 포착됐다.

22일 노란망고라는 닉네임을 쓰는 누리꾼 A 씨는 자신의 블로그에 갤럭시 휴대전화로 태양을 찍은 사진을 올리며 “태양의 흑점이 나올 줄은 정말 꿈에도 상상 못 했다”고 밝혔다.

그가 올린 사진에는 태양 표면 곳곳에 검은 점이 보인다.

A 씨는 “아침 출근길에 안개가 낀 것처럼 하늘이 뿌옇게 보였다. 롯데월드타워도 흐릿하고, 회사에 출근해 문득 하늘을 봤더니 오늘은 맨눈으로 태양을 볼 수 있었다”고 썼다.

그러면서 “삼성 갤럭시 S23 울트라로 100배 줌해서 찍었다”며 “평소같으면 태양을 촬영할 생각도 못했는데 오늘은 미세먼지가 자연 필터가 되어 태양을 촬영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한국천문연구원 관계자는 “흑점이 맞다”고 밝혔다. 흑점이란 태양 표면에 보이는 검은 점으로 주변보다 온도가 낮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올해는 태양 극대기에 해당하는 해다. 태양 극대기란 11년 주기로 반복되는 태양활동 주기 중 하나이다. 태양은 이 시기에 자기장이 강해지고, 표면에서 흑점 활동이 활발해진다.

한국천문연구원 태양 우주 환경 그룹장 곽영실 연구원은 동아닷컴에 “태양 활동이 극대기에 강해지는데 이때 자기장이 꼬여 흑점이 많이 생긴다”며 “흑점 폭발로 인한 빛 에너지가 지구 전체에 영향을 준다”고 했다.

곽 연구원은 “태양 빛이 강해 우리는 평소에 맨눈으로 볼 수 없다”며 “개기일식 관측할 때도 까만 용지를 대고 완전히 가려서 본다”고 예를 들었다.

이어 “미세먼지가 많으면 태양 빛 때문에 눈부셔서 못 보던 부분을 볼 수 있다”며 “태양과 우리 눈 사이에 필터 역할을 해준다”고 말했다.

곽 연구원은 “흑점 사진을 보고 사람들이 미세먼지 낀 날에 그냥 보려고 노력할까 봐서 걱정이다”며 “관측하고 싶다면 미세먼지에 의지해서 보지 말고, 필터를 활용해서 반드시 가리고 보는 게 좋다”고 당부했다.

2025년은 태양의 폭발이 많고 강하게 예상되는 해라고 한다. 곽영실 연구원은 “작년 화천에서 오로라가 발견됐을 때도 태양 폭발이 많이 있었고, 지자기 폭풍이 5단계까지 강하게 일어났다”고 했다.

또 “2022년 2월에는 태양 폭풍과 지자기 폭풍 등의 영향으로 위성 대기 항력이 강해져서 스타링크 위성이 대거 추락한 사례도 있다”고 전했다.

#미세먼지#태양 흑점#태양 활동#태양 극대기#자기장#개기일식#지자기 폭풍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