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회
“金보다 2배 비싸”…중국 수요 급증에 ‘이것’ 밀수 기승
뉴시스(신문)
입력
2025-02-01 18:13
2025년 2월 1일 18시 13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뉴시스
“금보다 두 배 비싼 소 담석, 전 세계 밀수 열풍을 몰고 오다.”
지난달 19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 같은 제목의 기사를 내보내며 최근 중남미 지역에서 소 담석 강도 사건이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최근 브라질 남부 바레토스 지역에서는 무장 갱단이 농가에 침입해 소를 무단으로 도축하고 담석을 훔쳐 달아나는 사건이 연이어 발생했다.
지난해 9월 우루과이에서는 300만달러(약 43억7490만원) 규모의 소 담석을 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홍콩으로 밀수하려던 일당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또 호주 퀸즐랜드주의 도축장 노동자들이 최근 몇 년 동안 소 담석을 고무장화에 숨겨 훔치다가 체포되기도 했다.
담석은 소, 산양, 영양 등 반추류 동물의 담날 속 질환으로 생기는 물질이다. 소의 담석은 약 100마리 중 한 마리씩 자연 생성된다.
원래 남미 지역에서 소의 담석은 모두 버려졌지만, 최근 중국 브로커들이 소 담석을 수집하면서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소 담석은 대부분 홍콩을 통해 중국으로 수입되고 있다.
소 담석은 ‘우황청심환’의 재료로 쓰인다. 특히 중화권에서 뇌졸중, 고혈압, 비만 등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약재로 사용된다.
WSJ은 최근 중국에서 심혈관 질환과 뇌졸중 환자가 늘어나면서 소 담석의 가치가 더욱 올라갔다고 봤다. 중국에서는 매년 10만명당 178명이 뇌졸중으로 사망하는데, 이는 미국의 세 배가 넘는 수치다.
소 담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세계 최대 소고기 생산지인 텍사스, 호주, 브라질 사바나 지역에서 담석 사냥 열풍이 불고 있다.
홍콩은 2019년 7550만달러(약 1101억원) 어치의 소 담석을 수입했지만, 2023년에는 2억1840만달러(약 3185억원)로 세 배 이상 늘었다.
브라질은 2023년 홍콩에 담석을 가장 많이 공급했으며 전체 수출량의 약 3분의 2를 차지했다. 호주,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미국, 파라과이가 그 뒤를 이었다.
현재 남미 일대에서 소 담석은 온스(약 28g)당 최대 5800달러(약 845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남미의 농장주들이 인위적으로 소에게 사탕수수를 사료로 먹여 소가 담석증에 걸리게 하는 꼼수를 쓰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환경 보호론자들은 야생동물 밀매가 증가한 데 중국 전통 의학의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 WSJ에 따르면 각국 정부는 코뿔소 뿔부터 천산갑 비늘, 호랑이 성기에 이르기까지 희귀동물의 특정 부위 거래를 단속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소 담석을 채취하는 건 환경 보호론자들 사이에서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소 담석이 멸종 위기 종의 특정 부위와 함께 거래되는 것이 문제라고 보고 있다. 그 예로 뇌졸중 치료에 사용되는 알약은 소 담석과 코뿔소 뿔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런던에 본부를 둔 환경 조사국은 “지난 수십 년 동안 한의학 산업의 급속한 성장은 아시아를 비롯한 전 세계의 멸종 위기 야생동물에 대한 압박을 더욱 악화시켰다”며 최근 수십 년간 한의학 업계의 야생동물 착취를 추적해 왔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특검, ‘고속道 종점변경 의혹’ 양평군청 등 10여곳 압수수색
‘임성근 천하의 개XX’ 페북 글 공유한 이명현 특검
우원식 국회의장, 내달 3일 中전승절 행사 참석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