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아이 부럼깨다 이 빠질라…“한입크기로 나눠 먹어요”

  • 뉴시스(신문)

코멘트

성장기 유치 법랑질 얇아 금 또는 깨질 위험
입안 통증 또는 치아 위치·색 변하면 진단을

ⓒ뉴시스
음력 1월15일인 정월대보름에는 가족이 모여 견과류 등 단단한 음식을 깨물어 먹으며 한 해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한다. 하지만 견과류 같은 단단한 음식은 어린 아이들의 치아 건강에 해가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12일 의료계에 따르면 성장기 아이들의 유치는 영구치보다 법랑질이 얇아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무리한 힘을 가하면 치아에 금이 가거나 깨질 위험이 있다.

한성훈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치과 교수는 “특히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영구치 맹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만약 유치가 조기에 탈락 된다면 아래에서 자라는 영구치의 맹출 공간이 부족해져 치열이 어긋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을 보면 0세에서 6세 사이에서 구강 외상은 전체 신체 외상의 약 18%를 차지한다. 전체 신체 외상 중 두 번째로 많다. 보통 영구치열에서 치아 외상이 치관 파절이 더 많이 일어나는 반면 유치에서는 치아가 완전히 빠지거나 탈구돼 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외상에 의해 동요도 없던 유치가 조기에 탈락하거나 제자리를 이탈하는 경우 이후 영구치가 맹출할 때 공간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인접 치아들이 그 빈 공간으로 서서히 변위 돼 유발하는 공간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부정교합이나 치열 불균형 등 다양한 치아 발달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한 교수는 “유치 외상으로 인해 조기 탈락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결손된 치아 공간을 방치하지 않고, 이후 영구치 맹출 공간을 유지하거나 되찾기 위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치과교정학적 진단을 통해 공간 유지 장치 적용이 고려될 수 있고, 이후 영구치가 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지속적인 공간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유치 외상으로 조기 탈구나 변위가 일어난 경우 치과를 방문해 적절한 평가를 받고, 필요에 따라 치과교정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게 중요한 이유다.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치아의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올바른 교정을 통해 정상적인 치열 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

부럼깨기 등 전통풍습을 건강하게 즐기려면 부모의 세심한 관심과 지도도 필요하다. 한 교수는 “아이들이 견과류와 같이 단단한 음식을 섭취할 때 너무 급하게 깨물지 않도록 주의시키고, 한입 크기로 나눠 먹도록 권하는 게 좋다”면서 “외상 후 아이가 평소와 달리 입안 통증을 호소하거나 치아의 위치와 색깔 변화가 관찰된다면 신속히 치과를 방문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