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임산물 공동상표 도입
버섯류-산양삼 등 소비 촉진 취지… 특산물 개발하고 지역 축제 연계
약용 소재 발굴해 해외시장 진출… HACCP인증 등 관리 강화하기로
임상섭 산림청장(가운데)이 1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열린 숲푸드 특별판매전을 둘러보며 임산물 판매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산림청 제공
우리나라 숲에서 나고 자란 먹거리인 임산물에 국가공동상표가 본격적으로 도입된다. 소비를 끌어올리기 위한 지역특산물 개발과 생산유통 인프라 확대 사업도 추진된다.
산림청은 1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먹거리 임산물 소비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먹거리 임산물은 산림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임산물 중 먹을 수 있거나 식품으로 가공할 수 있는 식물, 버섯류와 그 부산물을 의미한다.
산림청은 국가공동상표 ‘숲푸드’를 개발해 본격 운영, 임산물 소비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임업인의 소득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소멸 대응에 보탬이 되겠다는 계획이다. 숲푸드 대축제와 숲푸드 위크 등 소비를 촉진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임산물을 활용한 지역 특산품 개발과 지역 축제를 연계한 판매 확대를 추진한다. 온·오프라인 유통망을 다양하게 만들어 소비자 접근성을 높인다는 복안이다. 또 임산물의 기능성과 약리성을 제품이나 광고에 사용할 수 있도록 표기 기준을 마련해 홍보 효과와 제품 신뢰도를 강화한다.
임산물 공급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생산자를 조직화, 규모화한다. 품목별 자조금 조직을 지원해 생산자들의 협력을 증진하고, 스마트임업 기술, 기계 장비를 도입해 생산성을 향상한다. 시설재배 보조금 지원 대상을 넓혀 생산 기반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임산물의 산업적 가치를 높이면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지원도 늘린다. 산림약용 소재를 적극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제약 건강기능식품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방침이다. 산양삼과 초피 등 해외시장 경쟁력이 높은 유망 임산물을 중심으로 상품을 개발하고 판로를 개척해 우리 임산물의 해외 경쟁력을 강화한다.
우리 임산물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숲푸드 등록 임산물은 잔류농약 검사나 식품안전관리기준(HACCP),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등 농식품 분야 인증 여부를 철저히 관리한다. 임산물 명예감시원 제도를 통해 임산물 불법 채취와 부정 유통을 단속하고, 소비자 합동토론회나 품평회를 개최해 소비자의 의견을 듣고 품질 관리를 강화한다.
임산물 국가공동상표 숲푸드는 표고버섯, 산나물, 감 등 먹거리 임산물 91종이 등록 대상이다. 산림청은 올해 말까지 300개 제품 등록이 목표며 2030년까지 1500개 제품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임상섭 청장은 “임산물 소비가 증가하면 산림의 경제적 가치가 높아지고 지속 가능한 산림 보전이 가능하다”며 “국민과 임업인이 상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정책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