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신항 배후단지, 공공기관이 직접 개발

  • 동아일보

코멘트

10억 원 투입해 타당성 검토
민영화 논란 딛고 2030년 준공

그동안 민간업체들이 주도하던 인천 신항 배후단지 개발을 공공기관이 직접 맡는 방안이 추진된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신항 항만배후단지 2-1단계 구역(157만 m2)을 대상으로 10억 원을 들여 공공 개발을 위한 사전타당성 검토 용역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해당 구역은 1종 항만배후단지로 화물 보관, 배송과 조립, 가공 등 물류의 부가 가치를 높이는 산업시설이 주로 입주하게 된다. 현재 신항에서 발생하는 준설토로 부지가 조성되고 있으며 연수구에 편입될 예정이다. 사업비는 3393억 원이 책정됐으며 추가 논의를 거쳐 사업 방식이나 기관별 분담 비율 등이 결정된다. 인천해수청은 용역 결과가 나오면 내년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하고 인천항만공사와 함께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앞서 인천해수청은 인천 지역 시민단체와 항만업계 등의 의견을 반영해 새로 개발할 신항 배후단지를 공공 개발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현재 개발이 추진 중인 신항의 항만배후단지 1단계 구역 255만 m2 중 74%인 188만 m2를 민간에서 개발하면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항만 민영화 논란이 빚어졌다. 시민단체들은 항만배후단지 개발업체들이 토지 우선 매수 청구권도 받아 과도한 이익이 민간에 돌아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인천 신항#배후단지 개발#공공기관#민간업체#사전타당성 검토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