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후 여성 취업 가능성, 출산전보다 37%P 감소”

  • 동아일보

코멘트

자녀 12세 될때까지 회복 잘 안돼
출산전 직업교육땐 감소폭 줄어
노동硏 “경력 단절에 상당한 영향”

게티이미지뱅크
출산 후 여성의 취업 가능성은 그 이전보다 약 37%포인트 감소하고, 출산 후 12년까지도 출산 전으로 회복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출산 전 직업 교육·훈련을 받는다면 이러한 불리함을 일부 해소할 수 있지만, 첫 취업 시 이미 남성보다 소규모 기업에서 낮은 임금을 받는 탓에 교육·훈련을 받을 기회조차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동연구원은 23일 월간 노동리뷰 2월호를 통해 여성의 인적자본 투자 및 경제활동 지속성에 대해 논의한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여성 취업자의 인적자본 투자와 경제활동 지속성’ 보고서에서는 여성이 첫째 자녀를 출산한 뒤 취업 가능성이 37.2%포인트 감소한 결과를 제시하며 ‘출산’이 여성의 경력 단절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다만 출산 전 직업 교육·훈련을 받은 여성은 취업 가능성 감소 폭이 19.9%로 줄었다.

자녀 출산은 여성들의 주당 근로시간을 15.7시간 감소시켰으나, 출산 전 교육·훈련을 받은 여성의 출산 후 주당 근로시간은 8.5시간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의 취업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은 출산 직후뿐만 아니라 장기간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출산한 해 여성의 취업 확률은 출산 전 해와 비교해 26.7%포인트 감소했고, 첫째 자녀가 10세가 되는 무렵에는 출산 전 해와 비교해 42.8%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녀가 12세가 될 때까지도 40%포인트 안팎으로 감소세가 유지됐다.

반면 출산 전 직업 교육을 받은 여성은 출산 시점부터 출산 후 8년까지 교육을 받지 않은 여성보다 취업 확률이 10%포인트 이상 덜 감소했다. 취업 상태를 유지할 확률이 높아지니 근로시간과 근로소득이 덜 감소하는 효과도 있었다.

직업 교육의 참여 비율은 모든 연령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특히 직업 교육 참여는 기업 규모에 따라 차이가 컸는데 300인 이상 기업에서는 여성 69%, 남성 78%가 직업 교육에 참여하나 10인 이하 기업에서는 여성 42%, 남성 53%로 줄어들었다. 보고서는 “비형식교육(정규교육 외 모든 구조화된 학습활동) 참여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았다”며 “여성이 남성보다 직업 교육에 참여할 기회가 적어 참여 비율이 낮은 것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또 여성이 남성과 동일한 교육 수준과 전공을 가졌어도 노동시장 진입 시점부터 남성보다 소규모 기업에 낮은 임금을 받고 진입하는 경향이 있다고도 지적했다.

#한국노동연구원#여성 취업자#출산#경력 단절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