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산지 위판장인 부산 서구 부산공동어시장. 시설 노후화에 따른 비위생적인 경매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에 따라 2014년 국비 70%를 확보하며 현대화사업이 추진됐다. 공사비 문제, 공영화 추진 등으로 지지부진하던 사업은 2023년 500여억 원의 사업비 증액을 정부로부터 승인받으며 고비를 넘었고 최근 수협중앙회가 223억원의 사업비를 부담하겠다며 최대 주주로 올라서 탄력을 받고 있다. 부산시 제공
1963년 문을 연 국내 최대 수산물 산지 위판장인 부산공동어시장의 시설을 대폭 개선하는 ‘현대화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공동어시장은 최근 수협중앙회가 출자금 223억 원을 완납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에 따라 수협중앙회가 지분율 19.4%를 보유한 최대 주주가 됐다. 이번 출자로 공동어시장은 어려움을 겪던 현대화 사업 자부담 문제가 해소돼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공동어시장은 62년간 대형선망수협, 대형기선저인망수협, 부산시수협, 서남구기선저인망수협, 경남정치망수협 등 5개 주주로 구성돼왔다. 5개 주주가 대표이사 선출 등을 통해 공동어시장을 운영해 왔다.
이번 출자는 2022년 부산공동어시장이 수협중앙회에 현대화 사업을 위한 지분 참여를 요청하면서 추진됐다. 당초 수협은 출자금 지급을 결정했지만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해지자 출자가 연기됐다. 다행히 지난해 말 이사회에 출자금 지급을 보고하며 참여 의지를 재확인했다.
부산공동어시장 관계자는 “현대화 사업은 전체 사업비 2361억 원 중 10%인 약 236억 원을 자부담으로 충당해야 하는데, 어획량 감소와 고유가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이 컸다”며 “수협중앙회가 최대 주주로 출자하면서 현대화 사업 추진을 위한 큰 동력을 얻게 됐다”고 말했다. 이 사업은 서구 남부민동 어시장 부지에 연면적 6만 1971㎡의 지하 1층~지상 5층 건물을 건립하는 것이다. 위판장, 냉동창고, 판매시설 등 환경을 개선해 고품질 신선 수산물을 판매, 유통하는 게 핵심이다.
하지만 공사 중에도 수산물을 위판할 수 있도록 시설을 3분의 1씩 총 3단계로 나눠 시공해야 하는 데다 ‘기술 제안 입찰 방식’이 적용되는 등 다른 공사보다 조건이 까다롭다. 여기에 ‘39개월’로 정해진 공사 기간과 낮은 공사 수익률도 발목을 잡았다. 이에 지난해 11월 진행된 1차 공모에는 단 1곳의 사업자도 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아 올해 3월 착공 계획은 물 건너갔다.
이에 부산시는 시공사가 공사 기간을 정해 공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조건을 완화해 재공모에 나섰다. 그 결과 최근 HJ중공업, 대보건설, 한을건설 등 3개 사가 입찰에 참여했다. 시는 설계안 제출 등을 거쳐 늦어도 5월 시공사 선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3곳의 시공사가 입찰에 참여한 만큼 속도를 내어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공동어시장은 28일까지 대표이사 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조만간 공모 절차를 확정할 계획이다. 외부 인사 등 9명으로 구성된 추천위원회는 심사를 통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후보자를 ‘선출 총회’에 추천한다. 총회는 4월 2일 열리며 이곳에서 뽑힌 대표이사의 임기는 3년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