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 동반성장에 5년간 4225억 원 투입”

  • 동아일보

코멘트

‘서울형 라이즈’ 시행계획 의결
지자체서 대학 예산 집행하고
대학은 지역 현안 발굴해 해결

서울시가 인공지능(AI) 등 첨단 미래산업에서 우수 인력 확보를 위해 석사급 해외 우수 인재를 유치하기로 했다. 5년간 총 4225억 원을 들여 대학이 지역의 현안을 발굴하고 해결하게 하는 등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추진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24일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1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를 열고, 2025년 ‘서울형 라이즈(RISE)’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등을 심의, 의결했다고 밝혔다. 라이즈는 정부가 대학 재정지원사업 예산 집행권을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모색하는 사업으로, 올해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됐다.

서울형 라이즈는 △글로벌 대학 경쟁력 강화 △서울 전략산업 기반 강화 △지역사회 동반성장 △평생·직업교육 강화 △대학 창업 육성 등 5대 프로젝트와 12개 단위과제로 구성됐다. 먼저 글로벌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글로벌 산학합력 선도 대학 10곳과 글로벌 기업 40개를 육성한다. 또 2029년까지 AI 등 첨단 미래산업에서 우수 인력 확보를 위해 석사급 해외 우수 인재 500명을 유치하고 해외 우수 대학과의 공동 교육도 추진한다.

대학의 역량을 활용해 서울의 전략산업들과 연계함으로써 첨단 미래산업 기반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22개 대학의 산학협력을 집중 육성한다. 2029년까지 산학협력 고급인재 1300명 및 창조산업 인재 500명을 양성하고, 동대문구 홍릉 등 AI·바이오 클러스터와 연계한 산업생태계 확장 등에 나선다. 지역사회와의 동반 성장을 위해 대학은 5년간 100건의 지역 현안을 발굴, 해결한다. 늘봄학교 프로그램 개발 등 교육·돌봄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으로 서울과 지방 대학 간 공동 교육 운영 등을 통해 교육격차를 줄인다.

또 평생·직업교육을 강화해 시민 1만5000명이 참여하는 성인 학습자 대상 ‘열린대학’을 운영한다. 전문대학을 기반으로 산업현장 맞춤형 전문 기술인재를 2029년까지 800명 양성하는 등 지역사회에 대한 교육 기능도 강화한다. 미래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학 창업 활성화에도 힘쓴다. 서울캠퍼스타운 사업을 통해 대학별 창업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연 1000개의 예비·초기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지역-대학 동반성장#서울형 라이즈#서울시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