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5% “고령층 국가예방접종시 ‘백신효능·안전성’ 최우선”

  • 뉴스1

코멘트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전진숙 ‘고령층 국가예방접종’ 토론회
“고령층 예방접종 효과 커…초고령사회 대비해 적극 확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전 의원이 공동 주최한 ‘초고령사회, 국가필수예방접종 바람직한 방향은?’ 정책토론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5.2.26/뉴스1 ⓒ News1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전 의원이 공동 주최한 ‘초고령사회, 국가필수예방접종 바람직한 방향은?’ 정책토론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5.2.26/뉴스1 ⓒ News1
성인 10명 중 6명은 정부의 ‘고령층 국가예방접종’ 정책을 수립할 때 ‘백신 효능’과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는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공동 주최로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초고령사회, 국가필수예방접종 바람직한 방향은’ 정책토론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협회가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9일까지 19세 이상 성인 166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가예방접종 대국민 인식조사’ 온라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령층 국가예방접종 정책을 수립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백신 효능 및 안전성’(55.4%)이 꼽혔다.

이어 ‘치사율·입원율·중증화율’(52.5%), ‘전염성 및 유행성’(51.1%) 순으로 조사됐다. ‘가격’(15.6%), ‘공급 안전성’(11.8%)을 꼽은 응답자들도 있었다.

반드시 추가돼야 하는 고령층 국가예방접종으로는 ‘PCV 폐렴구균 백신’(56%)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뒤이어 ‘대상포진 백신’(46.2%), ‘코로나19 백신’(33.6%) 순으로 응답했다.

이와 별도로 협회가 이달 초 충남 태안군의 한 노인복지관 60세 이상 이용자 11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령층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의 우선 고려사항으로 ‘전염성 및 유행성’(61.8%)이 가장 많이 선택됐다. ‘백신 효능 및 안전성’(41.5%), ‘치사율·입원율·중증화율’(16.9%), ‘공급 안전성’(6.7%), ‘가격’(4.1%)이 뒤를 이었다.

반드시 추가돼야 하는 고령층 국가예방접종에 관해선 성인 전체를 대상 온라인 조사 결과와 차이가 나타났다. 60세 이상에선 ‘코로나19 백신’(56.7%)을 추가해야 할 국가예방접종으로 가장 많이 택했다. 이어 ‘PCV 폐렴구균 백신’(42.3%), ‘대상포진 백신’(18.1%) 순으로 조사됐다.

협회는 전염성이 높은 코로나19 대유행을 거치면서 고령층이 가장 중요한 국가예방접종으로 코로나19 백신을 꼽은 것으로 분석했다.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필요성에 관한 질문에서도 60세 이상 고령층은 93.2%가 ‘그렇다’고 답했다. 19세 이상 전체 성인 대상 조사에선 75.2%만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코로나19 백신이 국가예방접종에 포함된다면 백신 종류를 직접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는 60세 이상 노인 대상, 19세 이상 전체 성인 대상 설문에서 각각 97.5%, 94.6%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백신 접종 시 개인의 선택권 보장이 중요하다는 점에 응답자 대다수가 동의한 것이다.

김길원 협회 회장은 초고령사회에서 고령층 예방 접종 확대는 개인과 사회의 건강 수준을 높이고 건강보험 재정 부담을 완화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은 영유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어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예방접종은 ‘인플루엔자’와 ‘폐렴구균’ 단 두 가지뿐”이라며 “고령층 예방접종은 예상되는 효과가 큰 만큼 초고령사회 진입에 맞춰 우선순위를 재정비하고 지원사업을 적극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