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공주시는 지난 19일 국립공주대학교를 찾아 전입 혜택과 다양한 청년 지원 정책 등을 안내했다. 공주시 제공
충남도가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청년 인구 유입 정책을 추진한다.
27일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기준 도내 전체 인구 213만5171명 중 청년 인구(15~39세)는 49만8075명으로 전체 23.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예상 인구 지표인 장래인구추계 통계에선 충남은 15~64세의 생산 연령 인구는 2020년 72.1%에서 2070년 46.1%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도는 청년 등 경제 활동이 가능한 인구가 줄어들면 생산성 저하와 경제 성장 둔화, 고령화로 인한 복지 비용의 증가 등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힘쎈 청춘도시 충남’이라는 비전 아래 5대 전략과 70개 세부 사업을 추진한다. 관내 시군과 함께 청년 일자리 창출, 주거 환경 개선, 다문화 수용성 제고, 외국인 유치 등을 주요 핵심 과제로 삼았다.
시군들도 지역 특색에 맞춘 다양한 청년 유입 사업을 마련했다. 공주시는 학생 대상 전입 지원 정책을 도입했다. 타지역에 주소를 둔 대학생이 공주로 전입하면 매월 7만 원씩 최장 4년간, 고등학생은 1명당 최대 80만 원을 지역화폐인 공주페이로 지급한다. 또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 청년 맞춤형 공유주택 운영 등도 추진한다. 태안군도 청년의 전·월세 부담 완화를 위해 군으로 전입하는 무주택 청년 가구를 대상으로 최대 40만 원의 이사비를 지원하고 있다.
예산군은 ‘청년스마트빌리지’ 조성 사업을 진행중이다. 이 사업은 창작 공간을 제공하는 ‘메이커스페이스’와 청년 주거 공간을 함께 마련하는 프로젝트로, 지역 내 청년의 창의적인 활동과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8월까지 설계 용역을 완료하고 공사에 들어간다. 당진시는 올해 ‘청년 농업인 상향지원사업’을 도내 최초로 도입했다. 청년농업인의 안정적인 영농정착을 위해 매월 50만 원의 당진사랑상품권을 지원할 예정이다.
청양군은 ‘인구 3만 명 회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청양 인구는 현재 2만9000여명이며 지역 평균 연령은 지난해 말 기준 56.3세, 65세 인구는 전체 인구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군은 청년 셰어하우스 준공, 365일 24시간 어린이집 운영, 청년수당 지급, 충남도립대학교 기숙사비 지원 등의 정책을 핵심과제로 운영중이다.
이밖에 천안시는 산업단지 조성과 기업 유치를 통한 청년일자리 확대에 나서고, 논산시도 26만 평 규모로 조성 예정인 국방산단 조성과 함께 74만 평 규모의 일반 국가산업단지를 추가로 구축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청년인구 유입을 도모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충남의 인구 정책 중 가장 중요한 실천과제는 청년층 유입”이라며 “청년인구 증가 정책의 실행력을 높여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적극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