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산간을 중심으로 폭설이 내린 3일 강원도 강릉시 영동고속도로 강릉휴게소에서 제설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2025.3.3 뉴스1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이어진 겨울은 절기 구분이 무색할 정도로 예상과는 다른 날씨를 보였다. 가장 추워야 할 절기인 대한(大寒)에는 이상고온이 발생했고 봄이 시작되는 절기인 입춘(立春)에는 한파가 이어진 ‘청개구리 겨울’이었다.
6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4∼2025년 겨울철 기후 특성에 따르면 이번 겨울의 평균기온은 0.4도로 평년과 비슷했지만 한파, 이상고온 등 변동이 컸다. 1월 첫 주 전국에 한파와 폭설이 찾아오며 수도권 등에는 대설특보가 내려졌다. 대한인 1월 20일 전후로는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하루 최고기온이 상위 10% 안에 드는 이상고온이 6일간 이어졌다.
2월 3일 입춘과 18일 우수에는 봄 기운 대신 평년보다 추운 기온이 각각 일주일 이상 지속됐다. 월 평균기온은 영하 0.5도로 최근 10년 중 가장 낮았다. 이달 5일 경칩을 앞둔 삼일절 연휴에는 전국에 한파와 눈비가 찾아와 영동 지방 등에 폭설이 내렸다.
눈이 내린 날은 전국 평균 21.9일로 역대 4위를 기록했다. 전체 강수량은 하위 4위로 적은 편이었지만 이 중 많은 비율이 눈으로 내렸다. 서해상 따뜻한 바닷물과 차가운 대기의 온도 차로 눈구름대가 발달했다. 이번 겨울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온도는 12.4도로 최근 10년 중 두 번째로 높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