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티는 사직 전공의들… “의료개혁 백지화-입영혼란 해소” 요구

  • 동아일보

코멘트

[늪에 빠진 의정갈등]
의협 “증원 추진 인사 문책-사과해야”
강경파 “조건부 동결, 복귀 이유없어”
“이제는 병원 복귀해야” 목소리도

정부가 의대생 복귀를 위해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으로 되돌리겠다고 밝혔지만 의료공백 해소의 열쇠를 쥔 사직 전공의(인턴, 레지던트)들의 복귀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 상당수 전공의는 필수의료 패키지 백지화, 전공의 입영 혼란 해소 등의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복귀할 수 없다며 버티고 있다. 전공의와 단일대오로 움직여 온 의대생들의 복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7일 정부 발표를 두고 의료계 반응은 엇갈렸다. 정부가 한발 물러선 만큼 이제라도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복귀해 의료공백을 끝내야 한다는 의견도 있지만, 의료계 내 강경파들은 “조건부 정원 동결만으로는 복귀할 이유가 없다”며 정부에 ‘백기 투항’을 요구하고 있다.

법정 의사 대표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이날 성명에서 “정부가 제시한 대안으로는 (정상적인) 의대 교육이 불가능하다. 부당한 의대 증원 추진에 결정적 역할을 한 인사를 문책하고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도 페이스북에 “학장이라는 자가 정부 권력에 편승해 제자들을 시궁창에 빠뜨리려 한다”며 조건부 정원 동결에 동의한 의대 학장들을 비판했다.

전공의들의 반응도 냉랭하다. 수도권 대학병원의 4년 차 레지던트는 “개원면허제 등 의료개혁 세부 내용에 반발하는 의대생과 전공의가 많다. 정원을 되돌린다고 쉽게 복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대학병원의 한 전공의는 “갑작스러운 입영 통보로 수련이 중단되고 제대 후 수련받을 자리가 없을까 봐 불안해하는 전공의가 적지 않다.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전공의 내부에서도 정원 동결을 계기로 이제는 복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수도권의 한 필수과 레지던트는 “필수과를 계속할지 자신은 없고, 전공을 포기하겠다는 선후배도 많다. 그래도 내년 정원이 동결된 만큼 병원으로 복귀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의료계에선 이젠 의사들도 한발 물러서 의료공백을 끝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강희경 전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장은 “의대생들이 이번에도 복귀하지 않으면 여론으로부터 더 고립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진우 대한의학회장은 “내년도 정원 동결은 현재로선 정부가 내놓을 수 있는 최선의 안이다. 의료개혁 과제들은 우선 복귀한 뒤 더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성명에서 “정부와 의료계는 죽어가는 환자들을 생각해 한 발씩 양보해 사태를 조속히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사직 전공의#의료개혁#의정갈등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