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화재 AI가 감시…화재순찰로봇 투입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3월 18일 15시 43분


코멘트

화염과 연기 패턴 분석해 초기 소화
마포 농수산물·중구 남대문시장 도입

서울시내 전통시장의 화재를 막기 위해 화재순찰로봇이 투입된다.

18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불이 날 위험이 있고 구조상 대형 화재가 일어나기 쉬운 전통시장에 화재순찰로봇을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올해는 12월까지 전통시장 2곳에 순차적으로 순찰로봇을 운영한다. 상반기에는 마포 농수산물시장, 하반기에는 중구 남대문 전통시장이 대상이다.

자율주행과 열 감지가 가능한 이 로봇은 시장에서 화재순찰, 화재위험경고·화재경보 및 초기소화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화염과 연기의 패턴을 분석하고 고체 에어로졸을 분사한다. 고체 에어로졸 소화장치는 소화 기능이 있는 고체화합물을 에어로졸(미세한 고체 입자나 물방울) 형태로 뿌려 화재를 진압하는 설비다.

또 로봇은 순찰 시 화재가 감지되면 즉시 시장 자율소방대에 화재경보를 전송하고 자동으로 119에 화재신고를 하게 된다. 화재가 아닌 이상고온 등 화재위험요인을 감지한 경우에는시장 자율소방대가 화재예방활동과 안전조치를 하게 돕는다.

서울시는 2023년 12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4개월 간 테스트베드 차원에서 순찰로봇을 운영했다. 이 기간 동안 화재순찰로봇은 열화상카메라로 85건의 화재위험요인(50도 이상)을 미리 감지했고, 시장 관계자에게 알림을 발송해 적절한 안전조치가 취해지게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범 운영 기간 동안 화재순찰로봇이 전통시장 화재예방에 효과적이었다는 평가가 있어 올해 본격 운영을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시내 전통시장에서 연 평균 27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재산피해도 연 평균 7억 원에 달했다. 특히 시장 영업종료 후 상인이 없는 심야시간대(오후10시 ~다음날 오전 6시)에 상인이 있을 때보다 1.2배 더 많은 화재가 발생했고 재산피해는 43배 더 높았다.

서울시는 화재순찰로봇의 보완해야 할 부분을 적극 발굴·개선해 운영대상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로봇과 시장 자율소방대 그리고 소방서의 유기적인 화재대응체계 운영을 위해 민·관·로봇 합동소방훈련도 시장별로 진행한다.

권혁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화재예방 분야에 첨단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시민의 안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