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 대학을 운영하는 전국 40개 대학 총장들이 의대생들의 동맹 휴학 신청을 승인하지 않고 21일까지 반려하기로 합의했다. 정부가 내세운 ‘무관용 원칙’에 전국 주요 의대들이 동참한 것이다.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 협의회’(의총협)는 이날 오전 10시 간담회를 열고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대학 총장들은 이날 회의에서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21일까지 반려하기로 합의했다. 21일까지 복학하고 수업에 복귀하라는 사실상의 최후통첩이다.
총장들은 유급 및 제적 등 상황이 발생할 경우 학칙에서 규정한 원칙대로 처리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날 합의는 각 대학 총장 및 의대 학장이 교육부의 강경 방침에 뜻을 같이한 셈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총장들은 “사랑하는 의대생들의 고통과 어려움에 심심한 위로와 유감을 표한다”면서도 “현재의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최우선은 의대 교육 정상화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한다”고 밝혔다.
앞서 교육부는 전날 40개 대학에 공문을 보내 “형식적으로는 개인 사유에 의한 휴학 신청이나 실질적으로는 집단적인 대규모 휴학 신청에 대해서는 승인하지 않도록 조치해달라”고 당부했다.
교육부는 “대규모 휴학 신청은 대학 전체의 정상적인 학사 운영을 방해하고, 대학의 교육여건을 악화시켜 대학 내 다른 단과대학·학생들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며 “의대는 의대생의 대규모 집단 휴학과 이후 복학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책임이 있으므로 대학의 교육 여건 등을 고려해 휴학 승인 여부 등을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