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준 경남도 경제통상국장 등 관계자들이 2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2025∼2030 경남 산업인력 지원 종합계획’을 브리핑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경남도가 지속되는 산업계 인력난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2025∼2030 경남 산업인력 지원 종합계획’을 추진한다. 2030년까지 산업인력 충원율을 90% 이상으로 끌어 올리는 것이 목표다. 경남의 지난해 제조업 미충원율은 21.6%로 전국(18.3%) 대비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도는 맞춤형 산업인력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전략산업 육성과 연계해 특성화고, 대학 등과 함께 맞춤형 산업인력 양성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핵심이다. 지난해 2월 지정된 경남형 미래전략산업 교육발전특구를 우주항공(진주·사천·고성) 스마트제조(창원) 등 5개 지구로 구분해 내년까지 특목고 및 특성화고 산업기능인력 6000여 명을 양성한다. 글로컬대학 육성과 연계한 고급기술인력 1600여 명도 양성할 계획이다.
외국인력 도입 확대 및 정착 지원도 강화한다. 주력산업인 조선 및 항공 분야 등을 중심으로 1200여 명 규모로 숙련기능인력을 도입하는 경남형 광역비자 제도를 추진할 계획이다. 국내 체류 외국인의 도내 인구감소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비자 전환 특례인 지역특화형 비자도 확대할 방침이다. 지난해 250명인 비자 규모를 내년까지 1800여 명으로 증원했다.
지속가능한 일자리 환경 지원에도 행정력을 모은다. 중소기업 인력 유입과 장기 재직을 유도하기 위해 수요 기반 재직자 맞춤형 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지원, 가족친화 인증 기업 확대도 신규로 추진할 계획이다. 수요자 중심 일자리 매칭 강화를 위한 산학연계 청년취업 지원(10만 명) 사업 등도 강화한다.
도는 핵심과제 9개를 추진하기 위해 2030년까지 1조7602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산업인력 수급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산업 수요 맞춤 지원책을 발굴해 나갈 예정”이라며 “인력 양성, 고용 연계, 고용 안정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