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찾기 어려운 전통시장 점포에 ‘3차원(3D) 입체주소’와 디지털 지도를 도입한다. 방문객의 편의성을 높이고, 화재·응급상황 대응 효율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올해 연말까지 ‘전통시장 3차원 입체주소 지능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상세 주소가 없는 전통시장 내 점포와 시설물에 X-Y-Z 좌표 기반의 3차원 입체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디지털 지도로 구현하는 사업이다.
기존 전통시장은 정확한 주소 체계가 없거나 건물 내부 구획이 불명확해 지도 애플리케이션만으로는 점포를 찾기 어려웠다. 특히 응급상황 시 119구급대가 정확한 위치 파악에 어려움을 겪는 등 구조 활동에 제약이 있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통시장 입체지도를 개발해 제공하는 전국 최초 사례”라며 “시장 방문객 편의는 물론 화재나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동대문구 경동시장, 약령시장 등 건물형 시장 2곳과 청량리전통시장, 청량리청과물시장 등 골목형 시장 7곳에 있는 상가 1400여 곳(13만㎡)이 대상이다. 서울시는 우선 시장 유형별로 주소 부여 기준부터 마련한다. 기존처럼 전통시장을 하나의 주소로 통칭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출입구를 기준으로 실내외 주요 지점에 세부 주소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통시장을 공간구조에 따라 건물형, 골목형, 복합형으로 나눠 점포 위치는 물론 소방안전시설·대피시설·전기·가스설비 등도 함께 조사한다. 이후 360도 카메라와 고정밀 스캐닝 라이다 장비를 활용해 3D 공간 데이터를 수집, 점포 위치 정보와 결합해 입체주소와 디지털 지도를 구축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한국국토정보공사와 위수탁 협약을 체결하고 청량리 전통시장 9개 상인회, 동대문구, 서울소방재난본부 등 유관기관과 협의체를 구성해 사업 방향과 추진 상황을 공유하며 체계적인 사업을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