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 철도 건설 촉구” 호남 지자체 한목소리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3월 28일 03시 00분


코멘트

새만금∼목포, 철도 연결노선 없어
해안선 철도 중 유일한 단절 구간
인근 시군 등 8개 지자체 공동성명
국토부 철도망 5차 계획 반영 촉구

이달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서해안 철도 건설 국회 정책 포럼’에서 전북과 전남 8개 광역·기초 자치단체장과 국회의원 등 참석자들이 국가 계획 반영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고창군 제공
이달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서해안 철도 건설 국회 정책 포럼’에서 전북과 전남 8개 광역·기초 자치단체장과 국회의원 등 참석자들이 국가 계획 반영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고창군 제공
국토교통부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2026∼2035년)을 수립 중인 가운데 전북 새만금과 전남 목포를 잇는 서해안 철도 건설의 반영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북 고창군을 비롯한 호남 8개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는 균형 발전, 지역 발전을 위해 서해안 철도 구축 계획이 반드시 국가 계획에 반영돼야 한다며 힘을 모으고 있다.

27일 고창군 등 호남 서해안권 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정부는 동해·남해·서해안 지역을 연결하는 철도망을 구축 중이다. 동해선의 경우 올 1월 부산∼강원 강릉을 연결하는 구간이 개통했고, 강원 강릉∼속초∼제진 구간에선 공사가 진행 중이다.

전남 목포∼부산의 남해선은 올해 8월 목포∼보성 시속 200km급 준고속선이 개통된다. 서해안선은 충청과 수도권을 연결하는 서해선(홍성∼서화성)과 장항선(신창∼홍성)이 지난해 11월 공사를 마무리했다.

반면 전북 새만금과 전남 목포를 이어줄 서해안 철도 건설은 국토교통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추가 검토 사업으로만 언급돼 있을 뿐 사업 시행 여부가 불투명하다. 한반도의 동해와 남해, 서해를 연결할 U자형 철도망 중 유일하게 전북과 전남 구간만 단절된 상태인 것.

이에 따라 고창군을 중심으로 전북도와 전남도, 광주시를 비롯해 서해안 지역 자치단체들이 국가 계획 반영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이들은 공동 회견은 물론이고 정책 포럼, 서명운동 등을 통해 서해안 철도 건설의 당위성과 지역민의 열망을 정부에 전달하고 있다.

이달 18일 국회에서 열린 ‘서해안 철도 국가 계획 반영을 위한 정책 포럼’에서 단체장들은 “대한민국에서 전북·전남 해안에만 철도가 건설돼 있지 않다”면서 “서해안 철도를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반영하고 조속히 착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단체장들은 지난해 말에도 고창군청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국가 계획 반영을 요구한 바 있다.

김진희 연세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서해안 철도 구축 계획(안) 및 발전 방안’을 주제로 한 발제에서 “서해안 철도는 국가 계획과 부합하고 지역 주민 수용성, 지역 낙후도 개선,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크다”며 국가 계획 반영과 사업 추진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해당 지역 지방의회에서도 힘을 보태고 있다. 전북 군산시의회와 고창·부안군의회, 전남 영광·함평군의회 의장들은 27일 고창읍 행복센터에서 국가 계획 반영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냈다.

조민규 고창군의회 의장은 “전북과 전남 서해안 지역의 교통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새만금 개발과 연계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사업”이라며 “국가 계획에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고속열차로 서울까지 1시간 반이면 갈 수 있는 시대라지만, 고창에선 집이나 직장에서 기차역까지 오가는 품이 훨씬 많이 든다”라며 “서해안 철도의 국가 계획 반영으로 호남권의 자존심을 되찾고, 기차 타고 서울을 넘어 신의주까지, 나아가 유럽 대륙에 가는 날이 하루빨리 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고창군은 사실상 수면 아래 있던 서해안 철도의 국가 계획 반영을 촉구하는 움직임을 주도해 왔다. 지난해 11월 서해안 철도가 지날 지역의 자치단체장을 한데 모아 기자회견을 했고, 군민 서명운동을 비롯한 각종 퍼포먼스를 통해 주민의 열망을 정부에 지속해서 전달했다.

#서해안 철도#건설 촉구#호남 지자체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