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학 109주년을 맞이한 중앙대학교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연구 중심 대학’으로 도약하며 학문 간 융합 교육을 통해 미래 첨단 기술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AI, 반도체, 바이오, 신소재 등 전략적 연구 분야를 집중 육성하는 동시에 모든 학생이 AI·SW 기초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융합 교육을 확대하며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연구 중심 대학으로의 도약
중앙대는 2020년 박상규 총장이 취임하며 연구 중심 대학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한 이후 연구비 수주 실적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2020년부터 5년간 연구비 수주 1조 원을 돌파했으며 2022년과 2023년에는 종합사립대학 중 전국 5위를 유지했다. 첨단 기술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고 연구 환경을 체계적으로 지원한 결과다. 특히 AI, 반도체, 바이오헬스케어, 신소재 등 집중 육성 분야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해 연구 인프라를 대폭 강화한 것이 주효했다.
또한 대형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수주하며 국내외에서 연구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ICT 유망 분야를 이끌 고급 인재 양성 사업인 ‘대학 ICT연구센터 지원사업’, 국가 기초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연구실 사업’, 이학분야(SRC)와 공학분야(ERC)의 우수 연구그룹을 육성하고자 하는 ‘선도연구센터사업’ 등에 연이어 선정되며 글로벌 연구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에도 첨단소재·나노융합 혁신융합대학사업, 메타버스 융합대학원 지원사업 등 주요 정부 재정지원사업을 수주하며 선도적인 연구 역량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세계적 수준의 연구인력 및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위해 정부가 집중 추진 중인 ‘BK21사업’에서도 2020년 15개 사업에 이어 2024년 18개 사업으로 확대되는 큰 성과를 거뒀다. BK21은 분야당 2∼4개의 사업단만 모집하므로 여기에 선정된 것은 대한민국 최고 수준의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다.
최근에는 국내 주요 연구기관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국가 전략산업 분야의 공동 연구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2023년에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과, 2024년에는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협약을 맺었다.
또한 글로벌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연구 경쟁력이 높은 다양한 해외 대학과의 협력을 확대했다. 뉴욕주립대, 미시간주립대, 영국 버밍엄대, 파리1대학 판테옹 소르본 등 세계적인 명문 대학들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박 총장이 직접 미주, 유럽 등을 돌며 파트너십을 맺기도 했다. 전체 협정 규모는 74개국 660여 개 교에 이른다.
융합 교육 혁신, 학문 간 경계를 허물다
중앙대는 시대적 흐름을 선도하는 교육 혁신에도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학문 간 융합을 통해 전공의 경계를 허무는 융합 교육을 강화하며 학생들이 다학제적 역량을 갖추도록 교육 개혁을 추진 중이다. 다전공 의무화, 연계전공, 융합전공, 자기설계 전공을 도입하는 등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전공 및 연구 분야 간 협업을 활성화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융합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또한 미래 사회의 필수 역량인 AI 활용 능력을 함양하는 데 초점을 두고 모든 학생이 AI·SW 기초 교육을 이수하도록 AI·SW 교과목을 필수 과정으로 도입했다. 전공에 관계 없이 모든 재학생이 데이터 분석, AI 활용 능력, 디지털 리터러시를 갖추도록 돕는다.
AI를 각 전공 분야에 활용하는 AI 융합 교육도 강화하고 있다. 이공계뿐만 아니라 인문·사회, 예술·체육 분야에서도 AI를 접목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발해 모든 전공에서 AI가 활용될 수 있도록 교육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창업 및 연구 성과의 실용화, 산학협력 및 스타트업 지원
중앙대는 연구 성과가 산업 현장으로 이어지도록 산학협력을 강화하고 학생 창업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스타트업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자금 조달을 돕고 있으며 교내 창업펀드 및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통해 투자 유치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공간을 운영해 저비용 창업을 돕고 있으며 창업 경진대회 및 네트워킹 행사를 통해 동문과 외부 창업 전문가들과의 교류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2023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한 ‘창업교육 혁신 선도대학(SCOUT) 사업’의 수도권 권역 주관대학으로 선정됐다. 지난해 학생 창업자 수 기준 전국 대학 5위권의 성과를 거뒀다. 2023년에는 VCBD(벤처투자자동문회)란 동문 모임을 결성해 향후 10년간 200억 원을 동문 창업 기업에 투자하기로 협약을 체결했다.
서울캠퍼스 새 공간, 205관(가칭 첨단공학관)
이 같은 연구 중심 대학으로의 혁신적 변화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인프라가 중요하다. 이에 2025년에는 시설 인프라 확장을 위한 주요 프로젝트인 205관(가칭 첨단공학관) 신축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205관은 지상 13층, 지하 5층, 약 1만8000평(5만9500㎡) 규모로 향후 중앙대의 연구 역량 강화와 융합형 인재 육성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