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회
KTX 개통 21년 6억9000만㎞ 운행…국민 1인당 23번 탔다
뉴시스(신문)
입력
2025-04-01 11:32
2025년 4월 1일 11시 32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8개 노선 77개 정차, 일평균 24만6000명 이용
11억4000만명 탑승…지구 1만7000 바퀴돌아
ⓒ뉴시스
우리나라 고속철도 시대를 연 KTX가 개통 21년 만에 6억9000만㎞를 운행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1일 KTX 개통 21년 만에 승객 11억4000만 명을 싣고 6억9000만㎞를 운행했다고 밝혔다. 이는 우리국민 한 명당 KTX를 23번 탄 셈이다. 전체 운행거리는 지구둘레 4만㎞를 1만7000바퀴를 돈 것과 비슷하다.
지난 2004년 국내 첫 고속열차 운행을 개시한 KTX는 경부와 호남선 20개 역사를 시작으로 현재 8개 노선(경부·호남·경전·전라·동해·강릉·중부내륙·중앙) 77개 역을 운행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는 중부내륙선(판교~충주~문경)과 중앙선(서울~안동~부전)이 연장 개통했으며, 노선 연장에 따라 중부내륙선과 중앙선 모두 전년대비 이용객이 두 배 가량 늘어나 수도권과 지방 간 이동편의가 높아졌다. 올 연말에는 동해선에도 KTX를 운행할 계획이다.
KTX 이용객 비중을 살펴보면 2004년 개통당시 18%에 불과하던 이용객은 해마다 증가해 2014년 42%, 지난해에는 62% 올해는 63%로 전체 철도 이용객 중 KTX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코레일의 권역별 교통시장조사 결과를 보면 서울~부산 이동 53% 서울-광주 44%, 서울-울산 62%가 KTX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레일은 철도서비스의 진화에 따라 열차 온라인 예발매서비스 코레일톡을 기반으로 하는 코레일 MaaS(Mobility As a Service)’를 확대하고 있다.
코레일 MaaS는 누적 다운로드수 3500만회를 달성한 코레일톡에서 승차권 예매뿐 아니라 ▲길안내 ▲숙박 ▲대중교통 ▲렌터카 ▲카셰어링 ▲실시간 열차위치 안내 등 교통과 다양한 여행서비스를 하나로 묶은 혁신 플랫폼이다.
특히 코레일 Maas의 ‘실시간 열차위치 안내’는 국민이 뽑은 ‘2024년 최고의 철도서비스’ 1위로 선정될 정도로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이용건수는 873만회를 넘어섰다.
여기에 외국인의 이용 증가도 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KTX를 포함한 외국인 철도 이용객은 전년보다 61% 증가한 약 554만 명에 달했다.
이는 2023년 344만 명에서 210만 명이 증가한 것으로 지난해 방한 외국인은 1637만 명으로,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3명 중 1명꼴로 열차를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차성열 코레일 여객사업본부장은 “KTX가 대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쾌적한 철도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불법여권으로 유심 개통” 서울 한복판서 버젓이 대포폰 광고
“노란봉투법, APEC에 부정적 영향” 암참 경고에…조현, 백악관 협조 당부
백악관에 ‘금빛 연회장’… 트럼프의 내로남불
창 닫기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