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장 “산청·하동 국립공원 내 임도 없어 산불 진화 애먹어”

  • 뉴스1
  • 입력 2025년 4월 8일 14시 24분


코멘트

보존 위주 산림정책 바꿔야…활엽수 낙엽층 두꺼워 진화 어려움
경남도, 국립공원 관리청 ‘산림청 이관’ 등 산불예방 대책 건의

임상섭 산림청장이 8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을 찾아 최근 경남·북지역 대형산불과 관련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뉴스1
임상섭 산림청장이 8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을 찾아 최근 경남·북지역 대형산불과 관련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뉴스1

임상섭 산림청장은 8일 “지리산 국립공원 지역이 일부 포함된 산청과 하동지역 산불 진화 때 보존 위주의 정책으로 애를 먹었다”고 밝혔다.

최근 경남·북지역 대형산불과 관련, 임 청장은 이날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을 찾아 “산불 진화 때 활엽수의 낙엽층이 1m나 돼 진화에 애를 먹었다. 오랫동안 쌓인 낙엽 때문에 헬기로 물을 뿌려도 표면만 적실 뿐 속불까지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불이 낙엽층 아래에 있어 꺼진 산불이 다시 되살아나는 일이 반복됐다”고 밝혔다.

특히 임도 부족 등 보존 위주 정책이 산불 진화 애로의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강조했다.

국립공원 내 임도 부족에 따른 산불 진화 애로는 2년 전에도 발생한 바 있다.

지난 2023년 3월 8일 경남 합천에서 발생한 산불은 초기 강한 바람이 불어 급속히 확산했으나, 야간에 임도를 통해 인력이 들어가 밤샘 진화 작업을 벌인 결과 일몰 시 35%에 불과하던 진화율을 다음날 오전 5시에는 92%까지 끌어올려 조기 진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같은 달 11일 경남 하동 지리산 국립공원 자락에서 발생한 산불은 임도가 없어 인력 접근이 매우 어려웠고, 밤이 깊어지면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어 오후 10시 30분 진화인력이 모두 철수했다. 다음 날 아침까지 산불이 타들어가는 것을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임 청장은 “지난 7일 산불 2단계가 발령됐던 하동 산불에서도 임도가 잘 조성돼 있어 야간에 산불진화대원들이 현장에 접근, 진화를 수월하게 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2024년 말 현재 우리나라 산림 629만ha에 설치된 임도의 밀도는 4.25m/ha다. 국유림 임도밀도는 5.50m/ha, 사유림은 3.81m/ha다.

산림선진국인 독일(54m/ha)의 14분의 1, 일본(23.5m/ha)의 6분의 1 수준에 그친다. 오스트리아 임도 밀도는 50.5m/ha에 이른다. 우리나라의 임도밀도는 임업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다.

경북 2.86, 울산 2.99m/ha 등 이번 대형산불이 발생했던 곳 임도 밀도는 전국 평균을 훨씬 밑돈다.

특히 임도설치에 여러 제약이 따르는 국립공원 지역의 임도 밀도는 2023년 기준 0.16m/ha다.

한편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지난 3일 국회 본관에서 열린 ‘산불 피해 대책 당정협의회’에서 “이번 산불의 경우 험한 산악 지형과 국립공원 내 임도가 없어 야간 진화대 투입이 어려웠다”며 “산불 예방과 신속한 대응을 위해 국립공원 내 임도 개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국립공원 내 임도나 저수조 등 기본적인 진화 인프라가 전혀 갖춰져 있지 않은 상황”이라며 “국립공원 관리 체계에 대해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경남도는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처우개선, 국립공원 관리청 산림청 이관 등 산불 피해복구 지원과 예방을 위한 사업 23건을 건의했다.

이밖에 임 청장은 “소나무는 수관화 및 비화로 빠른 산불을 유발하는 한편 활엽수는 진화에 애를 먹는 수종”이라고 밝혔다.

실제 이번 지리산 국립공원 지역이 일부 포함된 산청과 하동지역 산불 진화 때 활엽수의 낙엽층이 1m나 돼 진화에 애를 먹었다.

주민 대피 체계와 관련, “내년 2월 산림재난법이 본격 시행되면 산림청장이 산림재난 발생 시 주민 대피명령을 지자체장에게 요청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현재 주민 대피명령은 시장·군수·구청장 등 지방자치단체장과 소방서장이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이번 대형 산불 진화 결과를 바탕으로 총리실이 총괄하고 산림청이 주관하는 가운데 전 부처를 아우르는 종합대책을 마련 중이다. 아마 4월 중순 나올 예정이다. 고정익 항공기 도입, 국립공원 관리 방안 등 다양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전·충남=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