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회
중성화 앞두고 임신했는데…책임 없다는 상대 견주
뉴시스(신문)
업데이트
2025-04-15 10:47
2025년 4월 15일 10시 47분
입력
2025-04-15 10:47
2025년 4월 15일 10시 47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뉴시스
중성화를 시키려던 반려견이 낯선 개로 인해 원치 않던 9마리의 새끼를 낳았는데, 상대 견주가 이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14일 JTBC ‘사건반장’에 따르면 3살 된 암컷 보더콜리 두 마리를 키우던 제보자 A씨는 반려견들을 산책시키던 중 낯선 수컷 개 한 마리를 발견했다.
주인 없이 홀로 돌아다니던 이 개는 A씨의 반려견들에게 접근했고, 집까지 쫓아와 며칠 동안 주변을 어슬렁거렸다고 한다. A씨는 이 때문에 잠도 못 자며 큰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했다.
사건은 A씨의 아내가 반려견을 산책시키던 중 다시 같은 개를 발견했을 때 일어났다. 개를 본 아내가 반려견들을 사무실로 격리시켰는데, 수컷 개가 문까지 부수고 들어가 교미를 한 것이다.
결국 A씨의 반려견 중 한 마리는 임신을 했고, 강아지 9마리를 낳았다.
수컷 개는 당시 주인을 잃은 상태였기 때문에 A씨는 수소문해 주인을 찾았고, 반려견들 간 일어난 일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서 “도의적으로 9마리 중 절반을 책임져라”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이 수컷 개의 견주는 “개를 찾아준 건 고맙지만 책임은 질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 대해 A씨는 “법적으로 손해배상 등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원만하게 해결하고 싶다”면서 조언을 요청했다.
사연을 접한 양지열 변호사는 “동물 같은 경우 그 주인이 동물이 저지른 피해에 대해 배상할 법적 책임이 있다”면서도 해당 건에 대한 판결 예측이 어렵다며 “다른 집 개를 임신시킨 게 손해를 끼친 것이라고 볼 수 있을지 소송에서 한번 다퉈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누리꾼들은 “중성화를 빨리 했어야 했다” “수컷이나 암컷이나 둘 다 견주 문제다” “좋게 하지 말고 법정 싸움 해라” 등의 반응을 보였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강선우 사퇴’ 갈라진 명심…정청래·박찬대 TV토론 격돌
“비닐로 묶어진 이유를 알고 싶다”…피해 이주노동자의 호소
트럼프 “태국·캄보디아, 즉시 만나 휴전 논의키로”
창 닫기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