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선발시험 응시 원서를 접수한 결과 선발 예정 인원 4330명에 총 10만5111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24.3대 1을 보이며 9년만에 반등했다. 정부는 저연차 공무원들의 공직 이탈 가속화를 막기 위해 8년 만에 공무원 보수를 최대치(3%)로 인상하는 등 대대적인 처우 개선에 나서고 있다. 사진은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공무원들이 점심 식사를 위해 청사를 나서고 있는 모습.. 뉴시스
한국이 세계 주요 국가들 중 재택근무 시간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현지시간)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40개국 대학졸업자 1만 6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응답자들은 일주일에 평균 1.3일 재택근무를 했고 국가별로는 한국인의 재택근무 일수는 약 0.5일로 집계되면서 한국의 재택근무 순위는 최하위를 기록했다.
캐나다가 1.9일로 재택근무를 가장 많이 했고, 영국 1.8일, 미국 1.6일 등이 뒤를 이었다. 독일과 인도, 나이지리아 1.5일, 브라질 1.4일, 호주 1.3일 등도 평균을 웃돌았고,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0.7일, 중국이 0.6일이었다. 이는 모두 한국보다 많은 수치다.
연구팀은 국가별 재택근무 비중이 다른 이유는 문화적 차이에 있다고 봤다. 사회 분위기가 개인주의적인지, 집단주의적인지에 따라 재택근무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다르다는 것이다.
특히 연구팀은 개인주의적 사회일수록 근로자들이 재택근무를 편안하게 받아들이고 임원들의 통제도 약했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집단주의 정도와 재택근무 비중 간 연관성을 좌표로 확인했다. 그 결과 한국은 집단주의가 가장 강하면서 재택근무 비중이 낮은 지점에 찍혀있었다.
연구팀은 “재택근무가 젊은 세대에 타격을 주고 있다. 동료를 만나 생각을 공유하고 배움을 얻는 기회가 줄어들기 때문”이라면서도 “재택근무로 출·퇴근 부담이 줄어들고 주택 수요를 넓힌다는 점에서는 호재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매체는 이와 관련해 “코로나19 팬데믹은 재택근무 도입을 수십 년 앞당겼다”며 “현재 재택근무는 경제적 효율성이 높지만 다소 외롭기도 한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