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시, 인구 소멸 대응 나선다…‘골드시티’ 추진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4월 24일 11시 05분


코멘트
보령시는 지난해 7월 충남도청에서 ‘서울시·충남도·보령시·서울주택공사·충남개발공사’ 5자간 골드시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보령시 제공
최근 충남 보령시가 ‘골드시티’ 조성을 핵심 역점 사업으로 내걸고 지역 인구 소멸에 대응하고 나섰다. 24일 보령시에 따르면 골드시티 조성은 수도권에서 이주를 희망하는 청년이나 유학생, 은퇴자 등에게 자연과 생활 기반을 골고루 갖춘 지역 내 주택을 제공하고, 이들이 보유한 기존 수도권 주택을 청년이나 신혼부부에게 공급하는 상생형 도시개발 사업이다. 시는 그동안 대천해수욕장 관광지 조성, 대천역 및 터미널 역세권 분양 등 다양한 개발 사업을 추진한 경험을 토대로 골드시티 조성추진 계획을 마련했다.

●서울 공화국 심화…골드시티 추진 배경

국토 면적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우리나라 인구의 과반인 2600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 사람이 몰리는 곳에 수요도 있어 여전히 거주시설, 인프라, 기업은 수도권으로 쏠리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지방은 노령인구 증가 문제와 맞물려 소멸의 위기에 직면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보령시는 수도권 과밀화에 따른 국토 균형발전의 필요성과 지방 소멸위기 및 노령인구 증가에 대한 해법으로 골드시티를 추진하게 됐다.

시는 지난해 7월 서울주택도시공사(SH)와 ‘서울시·충남도·보령시·SH·충남개발공사’ 5자간 지방상생형 순환주택사업(골드시티)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현재 조성 사업 대상지는 SH의 의견을 반영해 보령시 일원의 적정지를 검토 중이다. 올해 들어선 업무 협의를 통해 보령시 도시기본(관리)계획 변경 추진, SH 사업화 전략 수립 용역 발주계획 등 실무적 추진 사항을 논의했다. 시는 도시기본(관리)계획 변경 용역에 착수하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가 은퇴자·노령자만의 도시가 아닌 청년층, 유학생 등 다양한 세대들과 주거 문화를 공유하는 공존 도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 대상지 농림지역 규제 해제 등 과제 남아

다만 시가 추구하는 골드시티 조성에 있어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 우선 골드시티 사업 대상지로 검토 중인 보령지역 부지는 관광시설이 풍부하고 지가가 낮아 분양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시개발구역 지정 요건에 부합하지 않아 법적 규제 해제를 위한 각종 행정절차를 이행해야 하는 상황이다. 주거용 시가화예정용지 반영을 위해 농림지역의 용도지역 변경을 위한 농림부 및 충남도의 협의가 남아있다.

또 사업 시행사인 SH가 현재 한강개발 프로젝트, 신혼부부 미리내집 공급 시행 등 재정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보령에 골드시티를 동시 추진하고 있어 예산 마련도 관건이 될 전망이다. 시는 관계 당국과 해결책 마련을 위해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하는 등 세밀한 사업 추진 전략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김동일 보령시장은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포용도시를 지향하는 보령시야말로 골드시티 조성의 최적지”라며 “성공적으로 사업을 추진해대한민국 균형발전과 지방 인구 감소의 대표적 해결 사례로 남겠다”고 말했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