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지난달 15일 모자간 생체 간이식 수술로 중앙대의료원 100번째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이식 수술은 복수를 동반한 말기 간질환 및 간세포암으로 투병 중이던 75세 여성 문모 씨에게 54세 아들이 자신의 간 장기를 공여해 이뤄지게 됐다. 어버이날을 앞두고 최근 모자 모두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문 씨는 2015년 11월부터 대사기능장애 연관 지방간질환(MASLD)으로 인해 간경화 진단을 받고 병원을 다니면서 치료를 해오다 2023년 8월 간세포암이 발견돼 고주파 열 치료를 받았다.
그러나 점차 간경화가 진행돼 지난 2월 배에 복수가 차고 피까지 토하는 객혈 증상까지 나타났고 중앙대병원 간담췌외과 서석원 교수(중앙대병원 장기이식센터장)에게 간이식을 권유받았다.
서 교수로부터 간이식이 필요하다는 소견을 들은 아들 오 씨는 어머니에게 간을 공여하겠다고 나섰다. 주저하는 어머니에게 “아무 걱정하지 말고 건강해질 수 있으니 힘내시라”며 이식 수술을 결정했다.
간이식은 살아있는 사람의 간을 이식하는 생체 간이식과 사망한 사람의 기증된 간을 이식하는 뇌사자 간이식으로 나뉜다. 국내에서는 뇌사자 간이식 기증이 드물어 가족 중 공여자를 찾는 경우가 많다. 오 씨는 검사 결과 간의 크기와 구조가 적합해 수술을 진행하게 됐다.
이번 모자의 간이식 수술은 서 교수의 집도로 아들인 오 씨의 간의 우엽을 적출한 뒤 어머니 문 씨에게 이식하는 과정으로 8시간 동안 진행됐다. 수술은 성공했고 아들은 빠르게 회복해 10일 만에 먼저 퇴원했다. 문 씨도 지난 2일 건강한 모습으로 집으로 돌아갔다.
서 교수는 “기증자 뿐만 아니라 고령의 수혜자 모두 수술 후 합병증 없이 정상 간 기능을 되찾고 건강하게 퇴원하게 돼 감사하다”며 “어버이날을 앞두고 아드님의 선물로 중앙대의료원의 100번째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하게 된 환자분이 앞으로도 100세 넘게 장수 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중앙대의료원은 2015년 7월 서 교수의 집도로 ‘생체 간이식’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한편 권정택 중앙대병원장을 비롯해 서석원 교수 등 장기이식센터 의료진은 지난달 30일 건강을 회복한 모자를 축하하는 자리를 마련해 카네이션을 선물하며 기쁨을 함께했다.
서 교수는 “간 이식을 시행한 지 10년이 됐는데, 장기이식센터를 비롯한 소화기내과, 병리과, 진단검사의학과, 영상의학과의 유기적인 협력으로 최고 수준의 장기이식 의료기관으로 입지를 구축하게 됐다”며 “장기 기증자와 이식받는 환자의 혈액형이 같지 않더라도 수술 결과에 차이가 없고, 높은 성공률과 생존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간이식 전문병원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생체 간 기증과 이식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