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지방선거 당시 공천을 받게 해주겠다며 거액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 무속인 ‘건진법사’ 전성배 씨가 9일 서울 양천구 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2025.1.9/뉴스1
건진법사 전성배 씨(65)를 통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의 선물을 줬다는 의혹을 받는 통일교 전직 고위 간부가 과거 재판에서 자신이 한학자 통일교 총재의 ‘아들 같은 존재’라고 증언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7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통일교 전직 고위 간부 윤모 씨는 올 2월 25일 서울서부지법에서 열린 명예훼손 관련 재판에서 증인으로 출석했다. 그는 한 총재와의 관계에 대해 묻는 재판부 질문에 “제가 아들과 같은 역할을 했었다”고 답변했다. 자신의 통일교 내 직책이었던 ‘세계본부장’의 역할에 대해선 “총재님을 보좌하는 게 첫 번째 업무”라고 설명했다. 자신의 상사가 한 총재라는 점을 밝힌 것이다. 앞서 윤 씨는 자신에 대한 허위 사실을 인터넷에 유포했다며 다른 통일교 관계자를 고소해 지난해 9월부터 관련 재판이 진행 중이다. 윤 씨는 또 업무가 많아 부친이 뇌출혈로 쓰러졌을 때도 가지 못하고 사망했을 때만 찾아갔을 정도라고 주장했다. 그는 2020년 세계본부장으로 발탁되기 전에도 한 총재 비서실 부실장, 효정국제문화재단 이사장 등을 맡았다.
윤 씨는 윤 전 대통령 취임 전후인 2022년 4~8월경 전 씨를 통해 김 여사에 대한 선물을 명목으로 샤넬백과 그라프사 다이아몬드 목걸이, 천수삼 농축차 등을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통일교의 YTN 인수 추진, 캄보디아 메콩강 개발 지원, 한국 내 유엔 사무국 유치, 교육부 장관의 통일교 행사 참석, 윤 전 대통령 취임식 참여 등을 청탁 사안으로 영장에 적시했다.
만약 이번 청탁금지법 위반 사건도 윤 씨가 한 총재를 보좌하는 과정에서 그 일환으로 이뤄졌다면 통일교를 겨냥한 검찰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통일교 안팎에서는 청탁 사안이 윤 씨 개인의 안건이 아닌 만큼 검찰이 한학자 총재를 수사 선상에 올려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통일교 측은 “저희는 총재님 내외를 참부모로 모시기 때문에 호칭이 그렇다(아들이다)”며 “한 총재의 결재를 받았다는 건 윤 씨 측 일방적 주장이다. 교단 차원에서 그러한 요구(청탁)를 한 적이 전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검찰은 이번 청탁 의혹과 관련해 지난달 30일 윤 전 대통령의 아크로비스타 사저를 압수수색한 데 이어 당시 확보한 김 여사와 수행비서들의 휴대전화 등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