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14~15일 세계녹색성장포럼 개최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5월 14일 11시 20분


코멘트

기후 대응 방안과 미래 녹색 성장 비전 공유

경북 포항시는 2016년부터 친환경 녹색도시 종합계획인 ‘그린웨이(Green Way)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옛 철도 부지에 조성한 도시숲, 자연환경과 생태를 복원한 형산강, 도시 하천을 살린 포항운하 등이 대표적 사례다.

시는 10년간 축구장 약 107개 규모에 해당하는 76만㎡의 녹지공간을 조성했다. 이 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 최대 규모인 도시숲 5곳이 환경부의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승인을 받아 탄소중립 도시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시는 2030년까지 도시숲을 478만㎡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는 연간 약 2010t의 온실가스를 흡수할 수 있는 규모다.

포항은 한때 국내 대표적인 철강 도시였지만, 지금은 몰라보게 달라졌다. 10년간 산업 구조 다변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 결과, 이차전지·수소·바이오 분야에서 혁신적인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앵커기업(선도기업) 유치에 성공하고, 이차전지 등 관련 특화단지 ‘3관왕’을 차지하기도 했다.

14일 경북 포항시 북구 두호동 라한호텔에서 열린 세계녹색성장포럼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이명박 전 대통령, 이강덕 포항시장(왼쪽에서 여섯 번째부터) 등 주요 참석자들이 비전 선포를 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포항시는 이러한 성과와 기후 대응 방안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기 위해 ‘세계녹색성장포럼(WGGF)’을 개최한다. 14~15일 이틀간 북구 두호동 라한호텔에서 ‘미래를 위한 녹색 전환: 도전 속에서 길을 찾다’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은 산업도시 포항이 녹색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고도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찾은 비결과 미래 비전을 널리 알리는 자리다.

시는 이번 포럼을 계기로 세계적인 기후 위기 해법과 녹색 전환 전략 논의를 주도하고, 글로벌 도시로서의 위상을 다진다는 계획이다.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앞두고 산업, 도시, 시민이 함께 해법을 모색하는 국제적 행사로, 국내외 전문가와 국제기구, 산업계, 시민 등 300여 명이 참여한다.

14일 개회식에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축사를 전했다. 이 전 대통령의 포항 방문은 2013년 퇴임 이후 세 번째다. 그는 2008년 녹색성장 개념을 국제사회에 처음 제시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과 반기문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의장 등도 영상 축사를 통해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행사 기간에는 유엔(UN) 기후변화협약 글로벌 혁신 허브, GGGI 등 국제기구 관계자와 포스코, 에코프로, 두산퓨얼셀 등 국내 대표 친환경 기업들이 참여해 산업과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간다.

14일 경북 포항시 북구 두호동 라한호텔에서 열린 세계녹색성장포럼에서 이강덕 포항시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포럼은 총 7개 주제로 구성된다. 첫날에는 세계 녹색성장 정책 동향과 도시 간 협력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됐다. 김상협 GGGI 사무총장은 기조연설에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녹색성장 실현 방안을 제시했고, 아데어 로드 터너 에너지전환위원회(ETC) 의장은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같은 날 오후 ‘탄소중립 선도 도시’를 주제로 열린 세션에서는 포항의 녹색 전환 사례를 비롯해 중국 톈진 에코시티, 일본의 지역 ‘넷제로(Net Zero·탄소중립)’ 전략을 비교하며 실행 경험과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15일에는 개발도상국과의 녹색성장 협력, 블루카본과 해양 생태 복원 전략, 시민 실천 중심의 참여형 세션이 이어진다. 부대행사로는 ‘녹색성장 아이디어 해커톤’이 열린다. 해커톤은 ‘해킹’과 ‘마라톤’의 합성어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일정한 시간 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개발 경연 방식이다. 해외 13개국에서 61건의 아이디어가 접수됐으며, 본선에는 국내 5개, 해외 5개 등 총 10개 팀이 출전한다.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와 같은 형태의 시민 참여 토론도 마련된다. 행정, 전문가, 시민단체 등이 함께 기후변화 대응 경험과 전략을 논의하는 ‘포항 타운홀 COP’는 15일 오전 9시 30분부터 12시까지 라한호텔 에메랄드홀에서 진행된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 포럼은 녹색성장 다보스(WEF)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녹색기술과 탄소중립 실천 도시 포항의 위상을 강화하고, 국제 정책 협력 네트워크도 강화할 것”이라며 “특히 포항이 지향하는 미래 도시의 방향을 국제사회에 제시하는 선언의 장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