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건설 근로자 중 조선족 84% 압도적…7명 중 1명은 외국인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5월 20일 14시 05분


코멘트
12일 서울시내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건설노동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  2025.03.12 뉴시스
12일 서울시내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건설노동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 2025.03.12 뉴시스
지난해 국내 건설 근로자 7명 중 1명은 외국인 근로자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은 10명 중 8명이 중국동포(조선족)였다.

20일 고용노동부 산하 건설근로자공제회가 발간한 ‘건설현장 리포트’에 따르면, 2024년 국내 건설업에서 일한 외국인 근로자는 전체 건설 근로자의 14.7%에 해당하는 22만9541명이었다. 이는 2021년 12.2%, 2022년 12.7%, 2023년 14.2%에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한 수치다.

특히 체류자격과 국적이 확인된 외국인 근로자 4만9371명 중 83.7%가 조선족이었다. 다음으로 중국(5.9%), 베트남(2.2%), 한국계 러시아인(1.7%), 우즈베키스탄(1.6%) 순으로 나타났다. 건설근로자공제회는 “단순노무뿐 아니라 숙련도가 필요한 형틀목공, 철근공 등에도 조선족 근로자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건설근로자 중 외국인 근로자가 종사하는 직종은 보통인부(23%), 형틀목공(21.8%), 철근공(11.7%)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자 유형으로는 재외동포 자격인 F-4 비자 소지자가 전체의 50.4%로 가장 많았다. 이어 F-5(영주권, 22.4%), H-2(방문취업, 13.1%) 순이었다. F-4 비자는 한때 대한민국 국적이었거나 부모 또는 조부모 중 한 명이 대한민국 국적이었던 외국 국적 동포에게 부여된다. F-4 비자로는 법적으로 단순노무직에 취업할 수 없지만, 현실에서는 건설현장에서의 비공식 고용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입직 시 연령대에서도 외국인과 내국인 간 차이가 나타났다. 외국인 근로자의 입직 시 평균 연령은 42.5세로, 내국인(45.7세)보다 약 3세 젊었다. 근무 지역은 수도권 집중이 뚜렷했다. 경기도에 근무하는 외국인 비율이 38.3%로 가장 높았고, 서울(18.5%), 인천(9.6%)까지 포함하면 수도권에서 일하는 외국인 비율은 66.4%에 달했다. 거주지도 경기도(41.0%), 서울(32.2%), 인천(7.8%) 순으로 수도권에 밀집돼 있었다. 일자리가 몰린 대형 건설현장이 주로 수도권에 밀집돼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내국인의 수도권 근무 비율이 45.6%, 거주 비율은 47.6%에 그쳤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