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에 가담한 혐의로 기소된 이진우 전 육군수도방위사령관이 계엄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 끄집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법정에서 증언했다. 이 전 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에게서 이런 지시를 받았다고 공개적으로 증언한 것은 처음이다.
이 전 사령관은 20일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린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문상호 전 국군정보사령관의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대통령과의 세 번째 통화에서 대통령이 ‘발로 차고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끄집어내’라고 해 굉장히 충격을 받았다. 정상이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증언했다. 그러면서 “다만 대통령이 ‘국회의원’이라는 말은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 전 사령관은 그동안 헌법재판소와 국회에 증인으로 출석했지만, 형사재판이 진행 중이란 이유로 답변을 거부해왔다.
재판에서 이 전 사령관은 “윤 전 대통령이 두 번째 통화에서는 ‘4명이서 들어가 1명씩 들쳐업고 나오라’고 했다”며 “그때까지는 국회에 허락없이 들어가 위협이 될 수 있는 사람들을 끌고 나오라는 뜻으로 이해했다”는 증언도 내놨다. 계엄 당시 이 전 사령관을 보좌했던 부관도 12일 윤 전 대통령 내란 우두머리(수괴) 혐의 재판에 증인으로 나와 “본회의장에 들어가서 4명이 1명씩 들쳐업고 나와라”,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 등의 지시를 이 전 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받았다고 증언한 바 있다.
이 전 사령관은 수방사가 국회로 출동한 이유에 대해선 “국회 기능 유지가 저희의 첫 번째 출동 이유라고 생각했다”면서 “국회에 도착하자 수많은 사람들이 국회로 들어가려고 하고 있기에 미국의 국회의사당 난입 사태가 생각이 났고, 국가 핵심 시설인 국회 본청에 가서 확인되지 않은 출입자들을 막는 게 수방사의 임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군 검찰은 이 전 사령관이 계엄 전날 ‘대통령이 국회 해산권 있나요’ 등을 검색한 기록 등을 들어 사전에 계엄을 인지한 것 아니냐고 추궁했다. 이 전 사령관은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이 국정 상황이 걱정된다고 해서 저도 상상의 나래를 펼쳐서 생각하다 보니 검색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