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부산 연제구 부산시의회 2층 중회의실에서 ‘해양수산부·HMM 이전의 의미와 과제’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김화영 기자 run@donga.com
해양 전문가들이 모여 해양수산부와 해운기업인 HMM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모색했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의 싱크탱크인 오륙도연구소와 해양수도 부산 범시민추진회의는 24일 부산시의회 2층 중회의실에서 ‘해양수산부·HMM 이전의 의미와 과제’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부산이 해양 기반의 경제·사회·문화활동 등이 활발하고 선박금융 등이 발달한 진정한 해양도시로 성장하려면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가 논의됐다. 김태만 한국해양대 교수가 사회를 맡고, 발제와 패널토론에는 남기찬 전 부산항만공사 사장과 김상구 한국지방정부학회 회장, 오문범 부산YMCA 총장 등이 참여했다. 남 전 사장은 발제에서 “신청사를 지은 뒤 해수부를 이전하려면 소모적 논쟁이 발생할 수 있다”며 “임대 건물에 조기 이전을 하고,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근처의 북항재개발지에 신청사를 짓는 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남 전 사장은 항만 경쟁력을 바탕으로 선용품과 해운중개, 선박 수리 등 관련 산업을 육성한 싱가포르 해양산업 클러스터를 벤치마킹해 부산을 해양수도로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해수부 장관 후보자인 전재수 국회의원은 영상 메시지를 통해 “부산은 바다를 삶으로 살아온 도시인데, 국내 해양 정책의 축은 수도권에 머물러 있다”며 “해수부 부산 이전 등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최인호 전 국회의원은 “해수부의 이전이 단순한 지역 공약이었다면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첫 국무회의에서 신속 추진을 지시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사안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