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세대 10명 중 6명 “지방 취업 의향 없다” 취업 조건으론 “연봉 8000만 원 이상” 꼽아 게티이미지뱅크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 구직자 10명 중 6명 이상이 지방 근무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취업을 고려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연봉 8000만 원 이상’이 가장 많이 꼽혔다.
■ “지방 취업 의향 없다” 63%…연봉 기준은 ‘8000만 원 이상’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는 최근 Z세대 구직자 2754명을 대상으로 ‘지방 취업 의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63%는 “지방에 위치한 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7%에 그쳤다.
지방 기업에 취업할 수 있는 연봉 조건으로는 ‘8000만 원 이상’이란 응답이 33%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00~6000만 원’(19%), ‘4000~5000만 원’(17%), ‘6000~7000만 원’(13%) 등이 뒤를 이었다. ■ 지방 기피 이유는 ‘생활 인프라 부족’…수도권 선호는 여전 지방 취업을 꺼리는 이유로는 ‘주거·생활·교육 인프라 부족’이 55%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지인과 떨어져 살아야 한다’는 점을 꼽은 응답은 20%였다. ‘타지 생활에 대한 불안감’을 꼽은 응답은 13%였다. 그밖에 ‘희망 직무가 없을 것 같다’(6%), ‘경력 성장에 불리할 것 같다’(5%)는 응답도 있었다.
반면 지방 취업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응답자들은 ‘취업 경쟁이 덜할 것 같다’는 점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29%). 이어 ‘지방 거주 가족·지인과 가까운 거리’(21%), ‘희망 직무나 산업이 지방에 있다’(17%), ‘워라밸 기대’(16%), ‘생활비나 교통비 절감’(15%) 순이었다.
서울을 기준으로 ‘취업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지역’을 복수 응답으로 물은 결과, ‘서울 내’라는 응답이 58%로 가장 높았다. ‘판교·수원·인천 등 수도권’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52%였다.
진학사 캐치 부문장은 “지방 취업 기피에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인프라와 경력 기회에 대한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