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 90% 고교학점제 불만족…“과목선택에 사교육 필요”

  • 뉴시스(신문)
  • 입력 2025년 7월 1일 13시 14분


코멘트

전교조·교사노조·학부모단체 인식조사
“고교학점제 중단하고 다시 마련해야”

박영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이 8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열린 고교학점제 폐지 촉구 위한 교사 서명 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5.08. [서울=뉴시스]
박영환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이 8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열린 고교학점제 폐지 촉구 위한 교사 서명 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5.08. [서울=뉴시스]
올해 고등학교 1학년부터 전면 확대된 고교학점제에 대해 학부모 10명 중 9명이 만족하지 못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사노동조합연맹, 행복한교육학부모회, 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는 1일 고교학점제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학부모 2483명, 학생 565명을 대상으로 했다.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학부모 중 응답자 74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90%는 현재 고교학점제 운영 방식에 만족하지 않았다. 자녀의 과목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41%가 등급받기 쉬운 과목, 36%가 진학 희망 대학의 필수이수 과목이었고 진로 및 적성은 18%에 그쳤다.

모든 학부모를 대상으로 물어본 결과 96%는 현재 고교학점제가 경쟁과 입시경쟁 완화라는 본래 취지에 맞게 운영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또 고교생 단계에서 진로를 선택하는 게 시기적으로 적절하느냐는 질문에는 93%가 이르다고 답했다. 또 성적에 맞춰 고교 졸업장을 주는 것에 85%가 반대했다.

90%는 고교학점제로 과목 선택과 진로 설계를 위해 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97%는 고교학점제와 현행 입시제도가 교육 격차를 더욱 심화시킨다고 답했다.

학생 인식 조사에서는 20%가 고교학점제를 잘 모른다고 했다. 고교 1학년은 자신의 진로를 정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61%가 동의하지 않았다. 고교 과목 선택 및 입시 설계를 위해 사교육이 필요하냐는 질문에는 71%가 동의했다.

고교학점제 과목을 고를 때 가장 먼저 생각하는 건 진로와 적성이 45%였고 내신 유불리 28%, 희망 대학 필수이수 과목 20% 순이다.

또 60%는 고교학점제를 통해 스스로 과목을 계획하고 공부하는 습관을 기를 수 없고 53%는 학교에서 다양한 과목을 충분히 개설할 수 없다고 했으며 51%는 고교학점제를 통해 적성과 진로에 맞는 과목을 고를 수 없다고 생각했다.

아울러 85%는 고등학교 때 진로를 못 정하거나 중간에 바꾸면 불리할까봐 걱정이 된다고 했고 74%는 고교학점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과목을 잘못 고를까봐 걱정을 했다. 친구들과 듣는 수업이 달라 학교 생활이나 친구 사귀기가 힘들 것 같다는 응답은 65%였다.

이들은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즉각 중단하고 교육 주체들이 참여하는 공론화 과정 다시 마련하라”며 “또한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입시제도 개편, 절대평가 도입, 교사 정원 확보 등 근본적인 지원과 제도 개편을 함께 추진하라”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