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83% “공공의대 설립 찬성”…63% “병원 인력 부족하다”

  • 뉴스1
  • 입력 2025년 7월 7일 15시 28분


코멘트

보건의료노조 조사…“공공의대 설립 미뤄선 안돼”

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관계자들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올바른 의료개혁 추진 요구를 위한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 동의 없는 교육부 의대 증원 철회를 규탄하고 있다. 2025.4.24/뉴스1
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관계자들이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올바른 의료개혁 추진 요구를 위한 기자회견을 갖고 국민 동의 없는 교육부 의대 증원 철회를 규탄하고 있다. 2025.4.24/뉴스1
이재명 정부 보건의료 공약 중 하나인 공공의대 설립에 10명 중 8명 이상이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10명 중 6명 이상은 일선 병원에 인력이 부족해 보인다고 답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여론조사기관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 1∼2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10명을 상대로 새 정부 정책과제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7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의사 인력 확충과 양성 시스템 개선을 위해 공공의대를 설립하는 방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83.1%, ‘반대한다’는 응답은 12.9%였다. 이 대통령은 후보로서 인천, 전남, 전북에 공공의대를 설립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지역 필수의료 확보와 감염병 대응을 위해 정부가 공공병원 의사 인력 부족과 재정 문제(이른바 착한 적자)를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83.1%가 공감했다. 이와 함께 간병비 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 확대에도 81.8%가 동의했다.

응답자들은 ‘병원 인력 수가 충분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63.4%가 ‘부족하다’고 응답했고, 89.2%는 이 같은 인력 부족이 ‘환자 안전과 의료서비스 질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데 동의했다.

적정 인력 기준을 법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84.6%가 동의했다.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역할로는 ‘지역 간 인력 불균형 해소’(39.5%), ‘의대 정원 확대 등 의사 인력 증원’(36.3%), ‘의료진의 근무 환경 및 처우 개선’(21.5%) 등이 거론됐다.

노조는 “압도적 다수의 국민이 찬성한 만큼 새 정부는 이번에는 더 이상 미루거나 주저앉지 말고 공공의대 설립을 성공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공공의료와 보건의료 인력 확충 등을 위해 지난 2021년 노조와 정부가 맺었던 ‘9·2 노정 합의’를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