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가 9일 서울 성북구 본부관 학술회의장에서 ‘양자캠퍼스 선포식’을 개최했다.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 정승렬 국민대 총장,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왼쪽에서 네 번째부터) 등이 참석해 국민대가 양자 기술 허브로 도약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국민대 제공
국민대가 국내 대학 중 처음으로 양자캠퍼스를 조성하고 정부 및 산업계와 협력하기로 했다. 국민대 양자캠퍼스는 국민대가 경쟁력을 가진 정보 보안과 인공지능(AI), 차세대 통신, 미래 자동차 등 첨단 분야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 양자 기술 연구와 교육, 사업화를 연결하는 플랫폼 기능을 담당할 전문 캠퍼스를 말한다.
9일 서울 성북구 국민대 본부관 1층 학술회의장에서 열린 양자캠퍼스 조성 선포식에서 정승렬 국민대 총장은 “양자 기술은 향후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분야”라며 “선포식을 계기로 국민대는 양자 기술 기반의 융합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는 글로벌 양자캠퍼스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 3대 양자 보안 기술 모두 보유, 전문 캠퍼스 설립
양자 기술은 양자역학의 원리를 이용해 신약 개발과 바이오 기술, AI, 정보 보안 등 기존 기술로 구현하기 어려운 영역에서 혁신을 일으킬 핵심 기술이다. 기존 컴퓨팅 방식으로는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풀기 어려운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어 과학기술 전반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민대는 양자 보안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수의 특허 기술과 양자센서 기반의 양자 보안 서비스 상용화 기술을 융합하는 핵심 원천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이 중 다수를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옥연 국민대 정보보안암호수학과 교수는 선포식과 함께 열린 ‘양자 기술의 미래와 국민대의 역량 소개’ 강연에서 “국민대는 양자암호모듈, 양자암호통신장비, 양자내성암호 등 3대 양자 보안 기술을 모두 보유한 국내외에서 유일한 기관”이라며 “해당 기술 상용화를 통해 양자캠퍼스를 구축한 연구기관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국민대 차세대통신사업단장을 맡고 있는 박준석 전자공학부 교수는 △양자 기술 기반 교육 인프라 구축 △양자 융합 교육 체계 수립 △양자 기반 슈퍼컴퓨팅 인프라 도입을 국민대 양자캠퍼스의 핵심 방향으로 제시했다.
이날 선포식에는 IBM, IQM, AWS, 오리엔텀 등 국내외 양자 기술 선도 기업 관계자들도 참석해 양자 기술 산업의 발전 현황에 관해서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표창희 IBM 퀀텀 상무(아태지역사업본부장)는 ‘양자컴퓨터의 현재 기술과 향후 5년 전망’에 대해 강연했다. 방승현 한국양자산업협회장(오리엔텀 대표이사)은 ‘글로벌 양자 생태계 현황과 산업 현황’을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민희 위원장,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민형배 위원 등도 참석해 국내 양자 기술 생태계 구축을 논의했다.
● 양자컴퓨팅 실습자 연 1000명 이상 양성 목표
국민대는 양자 기술을 활용한 슈퍼컴퓨팅을 활용하면 AI 기반의 학습 패러다임 자체를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자 기술을 활용한 슈퍼컴퓨팅은 고속 연산으로 복잡한 계산이나 연구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학습 시간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대는 IBM, AWS와 협력해 클라우드 기반의 양자컴퓨팅 실습 플랫폼을 운영하며 매년 실습 이수자를 1000명 이상 양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또 양자프로세서유닛(QPU)과 그래픽처리장치(GPU)가 결합한 양자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국내 대학 최초로 도입해 신약 개발, 물류 최적화, AI 학습 등 대규모 연구를 지원할 예정이다.
양자융합학부도 신설한다. AI, 반도체, 바이오, 경영, 디자인 등 기존의 경쟁력 있는 전공 분야와 양자 기술을 결합해 △양자 시스템 △양자 보안 △디자인 융합 △바이오 융합 △경영 융합 △AI·콘텐츠 융합 등으로 세분화한다. 학생은 양자 UX디자인, 양자 바이오 시뮬레이션, 양자 금융모델, 양자 AI 콘텐츠 등 미래 산업에 직결되는 실습형 교육을 받는다.
국민대의 ‘양자캠퍼스 인재상’은 불확실성과 확률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양자역학적 사고’를 하는 인재다. 또 인문 과학 공학의 융합 역량, 여러 위치에 동시에 존재하듯 다양하게 오가며 학습하는 초위치 학습 민첩성,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능동적으로 사고하는 리더십을 갖춘 인재다. 국민대 관계자는 “양자 관련 특화 교육과정 개설, 글로벌 산학 프로젝트, 캠퍼스 내 실증 연구 공간 확충 등을 통해 점진적으로 새 캠퍼스의 비전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