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과거 ‘탈원전’을 주장했던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재생에너지와 원전을 혼합해 사용해야 한다”며 다소 바뀐 입장을 밝혔다. 김 후보자는 과거 언론에 “탈원전 정책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했다.
15일 김 후보자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석탄과 석유, 액화천연가스(LNG) 등 화석연료 사용량을 최대한 줄이는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이 굉장히 중요한 숙제”라며 “이를 위해서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데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때문에 원전과 적정하게 섞어야 한다고 했다.
원전의 완전한 퇴출보다는 일명 ‘에너지 믹스’를 강조한 것이다.
그는 ”원전도 위험성이라는 문제가 있다“며 ”원전 안전성을 높여 탈탄소 사회로 매우 빠른 속도로 전환해야 기후 위기를 막을 수 있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문재인 대통령 때만 해도 원전이 설계 수명이 다 되면 당시에는 후쿠시마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설계수명이 다 된 원전은 중단했다“며 ”이재명 정부는 소위 안전성이 담보된다면 계속 운전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또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원전을 추가로 2기를 짓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김 후보자가 원전에 대한 입장을 바꾼 것 아니냐는 평가도 나온다.
2017년 문재인 정부에서 김 후보자는 서울 노원구청장 시절 언론에 “탈원전 정책 기조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며 “원자력 발전소와 대형 석탄 발전소는 이제 더는 짓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2022년 6월 윤석열 정부에서는 윤 전 대통령의 원전 확대 구상을 “기후위기 시대 세계적인 에너지 산업동향과는 정반대의 발언이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지난해 4월에는 “원전 위주의 에너지 정책은 세계적 추세에도 맞지 않고 대한민국 산업과 경제를 망치는 길”이라고도 했다.
이재명 정부 초대 환경부 장관 후보자에 내정된 김 후보자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환경, 에너지 분야 전문가’라며 힘을 실었다.
댓글 0